미국령 괌 당국은 북한의 12일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괌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은 없지만 역내 모든 사건을 계속 감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에 억류 중인 탈북민들의 강제 북송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유엔 인권기구가 강제송환금지 의무 준수를 촉구했습니다. 워싱턴의 중국대사관 앞에선 탈북민 강제송환 중단을 촉구하는 민간 단체의 시위가 시작됐습니다.
미국 백악관이 북한의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한국과 일본의 안보를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에 도발 대신 외교를 선택할 것도 촉구했습니다.
북한이 12일 한반도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추정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리투아니아 빌뉴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현장에 모인 주요 지도자들이 강력 비판했습니다.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김건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등 세 나라 북 핵 수석대표들은 12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해 전화 협의를 하고 대응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북한이 12일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을 발사하는 도발을 감행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의 불법 행위에는 대가가 따를 것이라며 대북 확장억제 실행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리투아니아에서 만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들이 북한에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를 촉구했습니다. 미국과 한국, 일본의 대화 제의에 응할 것도 요구했습니다.
나토의 아태 협력국들인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외교관들이 대서양과 태평양 안보가 서로 분리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나토가 대북 압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 국무부는 미군 정찰기가 자국 배타적경제수역을 불법 비행했다는 북한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 안전기준에 맞는다는 IAEA 평가를 지지한다는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배출 계획과 관련해 미국과 캐나다의 원자력 관련 당국이 소량의 ‘삼중수소’ 방출은 위험성이 낮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전문가들도 일본의 계획이 국제기준에 부합한다는 IAEA의 판단에 대체로 동의했지만 일각에선 장기적 여파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미국 합참의장에 지명된 찰스 브라운 공군참모총장이 취임하면 북한의 위협에 대비해 미한일 3국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한 동맹이 동북아에서 미국 국가안보 체계의 핵심이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미국 공화당 의원들이 미한동맹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미한, 미한일 연합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확장억지 강화를 약속한 워싱턴선언이 북한에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