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고위당국자가 경제 분야에서 동맹을 압박하지 않고 상생을 추구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연관된 전기차 보조금 조항과 관련해 추가 조치가 있을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지난 2년 간 미국의 주요 인프라를 대상으로 한 북한 등 국가 주도 사이버 위협 세력의 범죄 활동이 더 늘어났다고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이 밝혔습니다. 특히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표적으로 사이버 공격을 벌였다고 지적했습니다.
More 'dramatic measures' may be needed to meet the growing challenge presented by Pyongyang, which said the declaration places the 'peace and security' of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in danger
미국 동남부에 위치한 조지아주가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이 경제 발전과 기회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굳건한 동맹 관계가 오래 유지되기를 바란다는 뜻도 밝혔습니다.
인도네시아 금융 당국이 북한인의 개인 은행 계좌 개설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기존 계좌에 대해선 금융기관 차원의 정기적인 보고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의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은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 모두에게 반향을 일으킨 연설이었다고 아미 베라 민주당 하원의원이 평가했습니다. 하원 외교위원회 인도태평양 소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베라 의원은 27일 VOA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과 윤 대통령이 합의한 핵협의체그룹(NCG) 창설은 북한은 물론 중국의 증대하는 위협에 대한 인식의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미 국방부를 방문해 미국의 확장억제에 대한 강력한 신뢰를 표시했습니다.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군지휘통제센터(NMCC)에서 미군의 위기 대응 체계에 대한 브리핑을 받았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통해 한국 정부는 미국과 중러 간 갈등 속에서 자유민주주의 세력과의 연대 강화라는 한층 분명한 전략적 명확성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에 따라 한반도에선 미한일 대 북중러 진영간 대립이 더 거세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러시아가 28일, 미국과 한국이 합의한 ‘워싱턴 선언’이 역내 불안정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을 국빈방문 중인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28일 보스턴 인근의 명문대학인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과 하버드대학교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일본 정부가 28일 해양안보 강화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새로운 5개년 해양기본계획을 채택했습니다.
미국 국빈 방문 나흘째인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부에서 열린 국빈 오찬에 참석해 동맹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미 국무장관은 미한 동맹이 안보를 넘어 과학과 기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