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 현장으로 지목한 항구에서 계속 선박과 컨테이너의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VOA는 이 지점에서 대형 선박을 발견해 보도했는데, 북러 간 무기 거래 초기 모습이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 정부는 최근 미국이 공개한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 정황과 관련해 “전 세계를 속여 온 북한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북한 외무성 초청으로 18일부터 이틀간 북한을 공식 방문한다고 북한 대외관영 ‘조선중앙통신’이 오늘(16일) 보도했습니다.
일본 적군파 테러 피해자와 유족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북한에 소송 사실을 고지했습니다. 피소 사실을 전달받은 북한은 앞으로 60일 이내에 법적 대응에 나서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패소 판결을 받게 됩니다.
북한이 지난달 컨테이너 1천개 분량의 군사장비와 탄약을 러시아에 제공했다고 미국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북한은 그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전투기와 탄도미사일 생산 장비 등을 받으려 하는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러시아 요청으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북러 무기 거래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미국은 북한에 러시아에 대한 무기 이전 노력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중국이 최근 수백 명의 탈북민을 강제 북송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 인권 전문가들은 중국과 북한의 인권 유린을 막기 위해 제재와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국제사회에 중국과 북한의 반인도적 인권 유린을 널리 알릴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한국이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을 교훈 삼아 남북 군사분계선에서의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미국의 전직 고위 관리들이 밝혔습니다. 최첨단 방어 시설이 한 순간에 무력화된 원인을 분석해 한국 상황에 적용해야 한다는 제언입니다. 세계 여러 곳에서 동시에 전쟁이 발발해도 미국은 동맹, 파트너와 함께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북한의 부분적 국경 개방을 환영하면서도 이를 계기로 탈북민들이 강제북송될 위험에 대한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중국에 대해서는 자국 내 탈북민을 보호하고 강제송환금지원칙을 준수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미국과 일본이 대규모 합동 군사훈련에 돌입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취임 선서를 하고 공식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미국 북한인권특사가 활동을 재개한 것은 지난 2017년 로버트 킹 전 특사가 퇴임한 지 6년 9개월 만입니다.
미국 상원에 이어 하원에서도 최근 한국에서 동결 해제된 이란 자금의 재동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해당 자금을 언제든 다시 동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