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윤석열 대통령이 주요 국가 정상들과 잇따라 회담을 갖는 이른바 ‘외교 슈퍼위크’가 시작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일련의 회담들이 한국에 새로운 기회가 될 뿐 아니라 미한 동맹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1969년 한국의 대한항공 칼(KAL) 여객기 납북 사건 피해자 가족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건 진상 조사와 피해자 송환 노력을 촉구하는 공개서신을 보냈습니다. 이들은 북한의 범죄행위를 심판하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가족이 포함된 북한 주민들이 지난 6일 어선을 타고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한국으로 들어와 망명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기간에 미한일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미국 백악관 고위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미국의 지지로 한일 관계에 실질적 진전이 이뤄졌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지명자가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국제안보 사안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공개회의를 재개하고 인권 유린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는 포부도 밝혔습니다.
국무부가 북한 위성 발사의 불법성을 지적하며 대화 복귀를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불법 활동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도구가 많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습니다.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는 미한 공군이 북한에 대해 핵심적인 억제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들이 대북 정책과 관련해 북한 인권 문제 제기와 대북 정보 유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탈북민들은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자유민주주의 원칙에 입각한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습니다.
북한과 일본이 유엔 군축회의장에서 공방을 벌였습니다. 일본 대표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거론하며 완전한 비핵화를 촉구하자 북한 대표는 일본이 군사적 야망을 위해 북한을 이용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준비 중인 가운데 과거 북한이 발사한 인공위성 2개가 여전히 지구 궤도를 운행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러나 신호 전송이 불가능한 ‘죽은 위성’인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독일 정부가 한국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인권과 법치 존중이 평화와 안보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과 캐나다 정상이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규탄하며 대화 복귀를 촉구했습니다.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협력도 다짐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