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공격에 특화된 북한제 무기가 이란을 통해 중동 내 테러단체에 광범위하게 전달됐다고 전문가들이 분석했습니다. 수십년 간 축적된 북한의 땅굴 건설 기술이 헤즈볼라를 통해 하마스에 전수됐을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한국과 일본이 이달 말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중일 외교장관회담에서 북러 밀착에 대한 중국의 불안을 공략해야 한다고 미 전문가들이 말했습니다. 미한일이 강력히 연대할 때 중국이 건설적인 관여에 나선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미 국방부는 미한일 군사 협력에 대한 북한의 비난에 역내 평화와 안정 수호를 위해 3국 간 협력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미국은 북한에 대한 어떤 적대적 의도도 갖고 있지 않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한국의 ‘탈북민 강제북송 비상대책위원회’가 6일 유엔본부가 있는 뉴욕에서 북송 반대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조용한 외교는 실패했다며 유엔에 중국 정부를 강하게 압박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재일 북송사업의 관할권을 일본에 부여한 도쿄 고등재판소의 최근 판결이 조총련과 북한 정부 모두를 압박할 것이라고 전직 조총련 간부들이 진단했습니다. 가족이 북한에 살고 있어 불만을 표출하지 못하는 많은 조총련 회원들도 내심 판결을 반길 것이란 지적도 나왔습니다.
유럽과 중동에서 벌어지고 있는 두 개의 전쟁이 한반도를 비롯한 아시아 안보도 위협하고 있다고 미국 상원의원들이 밝혔습니다. 미국이 또 다른 전쟁을 감당할 여력이 없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러시아가 무기 제공 대가로 북한에 다탄두 장착 기술 등 민감한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고 알렉산더 버시바우 전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가 말했습니다. 버시바우 전 대사는 6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하지만 러시아가 북한의 요구를 다 들어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북러 군사 협력에 대응해 미한일 군사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북한을 비롯한 적성국들에 대한 미국의 제재 시행 예산을 늘리는 방안이 미국 하원에서 추진되고 있습니다. 대북 제재 구멍이 커지고 있다는 의회 내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나와 주목됩니다.
북한의 사이버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과 한국, 일본 3국 고위급 협의체가 출범한다고 한국 대통령실이 6일 밝혔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6일 줄리 터너 북한인권특사의 취임식 소식을 전하며 북한 인권 증진에 대한 기대감을 피력했습니다.
일본이 약 5년 만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비한 모의 대피 훈련을 재개했습니다.
북한이 지난 8월 2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뒤 10월에 3차 발사를 단행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정찰위성의 결함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