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한 필리핀은 한국과의 관계에서 혁신적인 파트너십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반도 통일은 경제적인 이해득실을 떠나 도덕적인 의무, 가치 지향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한국 통일부 장관이 말했습니다.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심화하는 러시아와 북한의 협력이 유럽 안팎의 안보를 약화시키고 있다고 미국 정부가 지적했습니다. 심화하는 북러 협력은 우크라이나에 피해를 입힐 뿐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고 국제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킨다고 비판했습니다.
러시아의 방해로 활동이 종료된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전문가 패널을 대체할 새로운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팀, MSMT가 공식 출범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불법적인 유엔 제재 결의 위반을 엄격하게 감시할 대체 기구 출범을 환영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러시아의 훼방으로 활동이 종료된 유엔 대북제재 전문가패널을 대체할 새로운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팀이 공식 출범한 것은 중요한 진전이라고 전문가들이 평가했습니다. 다만 유엔 밖 기구이기 때문에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는 도전 과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영국에서 북한 인권 관련 행사가 열렸습니다. 영국에 거주하는 탈북민들이 직접 북한 인권 참상을 증언하고, 탈북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도 상영하면서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호소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미국과 핀란드가 인도태평양에 관한 협의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관계 강화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한일 양국 정상이 첫 정상회담을 갖고 공조를 강화하기로 한 데 대해 환영 의사를 밝혔습니다. 또 한국과 아세안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수립한 것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을 만드는 데 필수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유엔군사령부는 ‘한국의 무인기가 평양 상공에 침투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북한이 주장한 데 대해 관련 사실을 인지하고 조사 중이라고 15일 밝혔습니다.
영국의 한 대학에서 최근 탈북민들이 북한 인권 참상을 증언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탈북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도 상영하면서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호소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미국∙한국 등의 적대 정책이 북한 인권 증진의 장애물이라는 북한의 비난과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북한의 인권 상황은 개탄스러우며 북한 인권은 세계 평화와 안보와 불가분의 관계라고 강조했는데, 그러나 북한과 전제조건 없는 대화에 나설 의향이 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미국과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등 한반도 긴장 고조에 대한 우려를 담은 의장 성명을 채택했습니다. 이들은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미국의 적대 정책이 북한 인권 증진의 장애물이라는 북한의 비난을 일축했습니다. 북한 인권이 세계 평화 및 안보와 불가분의 관계라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탈북민 수백 명을 강제 북송한 지 1년을 맞아 미국과 국제사회에서 북송 중단을 중국에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중국 항저우 아시안게임 폐막식 직후 중국 정부가 북중 접경 지역에서 탈북민 수백 명을 기습적으로 강제북송한 지 9일로 꼭 1년이 지났습니다. 미국 정치권과 의회를 비롯해 국제사회에서는 중국의 탈북민 강제북송과 북한의 인권 유린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한국과 싱가포르가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기로 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환영 의사를 밝혔습니다. 미국의 동맹 및 파트너 간의 협력 증진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 태평양 역내 환경 조성에 중요하다는 설명입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이 남측과 연결되는 육로를 끊고 요새화를 진행하는 것과 관련해 한국과 일본에 대한 안보 공약이 확고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반도 안보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정부가 탈북민 수백 명을 강제 북송한 지 1년을 맞아 미국 등 국제사회에서 중국에 강제북송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북한에는 북송된 탈북민들에 대한 인권 유린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지난해 10월 9일 북중 접경지역에서 탈북민 수백 명이 강제 북송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중국과 북한은 국제사회의 탈북민 행방 확인과 석방 촉구에 지금까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미 국무부는 중국이 강제 송환 금지 의무를 준수할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한국과 필리핀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한 것을 환영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