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한인 이산가족’ 관련 법안…올해 다시 발의할 것


[VOA 뉴스] ‘한인 이산가족’ 관련 법안…올해 다시 발의할 것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50 0:00

지난해 미국내 한인 이산가족 관련 법안을 발의했던 미국의 팀 케인 상원의원이 올해 다시 법안을 발의해 꼭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산가족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 대화를 재개해 이산가족 문제도 주요 이슈로 다뤄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지난해 미국내 한인 이산가족 관련 법안을 발의했던 미국의 팀 케인 상원의원이 올해 다시 법안을 발의해 꼭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산가족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 대화를 재개해 이산가족 문제도 주요 이슈로 다뤄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미국 내 한인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앞장서 왔던 팀 케인 민주당 상원의원이 올해 다시 이산가족 관련 법안을 발의해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케인 의원은 5일 VOA의 관련 서면 질의에 한국전쟁 후 많은 한국인들이 언젠가는 북녘 땅에 남겨진 가족과 다시 만나기를 희망하면서 미국으로 이주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현 국무장관인 마르코 루비오 전 상원의원과 함께 지난해, 버지니아 거주 6만6천여 명 등 한국계 미국인들이 수십 년 동안 헤어져 지낸 가족들과 보다 쉽게 재회할 수 있도록 돕는 법안을 발의하게 돼 기뻤다고 밝혔습니다.

케인 의원은 이어 해당 법안의 재발의를 주도할 것이라며 동료들, 또 루비오 장관과 함께 최선을 다해 법안이 통과돼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케인 의원은 지난해 3월 미국 국무부가 한인 이산가족 정보를 담은 공식적 국가 등록부를 구축하도록 하는 법안을 공화당의 루비오 상원의원과 함께 공동 발의했지만, 법안은 처리되지 못해 118대 의회 회기 종료와 함께 자동 폐기됐습니다.

당시 루비오 상원의원은 전쟁과 김정은의 억압적인 정권 때문에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들과 헤어져 지내온 재미 한인 가족들을 돕기 위한 노력은, 북한과의 잠재적인 대화에서 중요한 부분이 돼야 한다면서, 이 법안이 그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법안 발의 사유를 밝혔었습니다.

이차희 재미 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 사무총장은 케인 의원의 관련 법안 재발의 의지에 대해 환영했습니다.

이차희 / 재미 이산가족상봉추진위원회 사무총장
“저희도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노인들이 지금 90 대들이니까요. 1년, 2년, 불과 몇 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은 이번 정부가 바뀌고 정책이 바뀐 데 대해서 큰 희망을 갖고 있습니다.”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역임한 로버트 킹 전 특사는 이산가족 문제는 결국 인권문제라면서 북한과의 정기적 소통 통로를 통한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로버트 킹 / 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로버트 킹/전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제가 특사였을 때 이산가족 문제는 분명히 정말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북한과 정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없기 때문에 이 문제를 제기하기가 어렵습니다.”

워싱턴의 민간 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레그 스칼라튜 회장은 이산가족 문제 해결의 중요성과 함께, 정치적 도구 악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지적했습니다.

그레그 스칼라튜 / 북한인권위원회 회장
“이산가족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시한이 있는 문제죠. 하지만 북한과의 무조건적인 대화를 모색하기 위해 악용돼선 안 됩니다.”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한 간에는 지난 2000년 이후 모두 21차례의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지만, 미국과 북한 간에는 지금까지 공식적인 이산가족 상봉이 단 한 차례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일부 한인 이산가족들은 친북단체나 브로커를 통하는 방식으로 북한의 가족들을 만났지만 적지 않은 비용이 들었습니다.

VOA 뉴스 안준호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