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권 침해 피해자 가족들과 북한 인권 단체들이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한국행을 원하는 북한군 포로들의 자유의사를 존중해 달라는 서한을 보냈습니다. 포로들의 자유의사를 존중하는 것이 국제 규약에 부합할 뿐 아니라 우크라이나 전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유럽연합이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주요 우선사항으로 다룰 것이라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할 북한인권 결의안에 북한 인권 침해 피해자들과 북한 인권 단체들의 견해도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또다시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국가로 지목됐습니다. 북한은 유엔의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줄곧 이 목록에 포함돼 왔는데요. 안소영 기자와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북한의 참혹한 인권 상황이 2020년부터 강화된 당국의 억압과 사상 통제로 더욱 악화했다는 탈북민들의 증언이 나왔습니다. 인권단체들은 북한 당국이 조직적인 인권 유린의 증거가 넘쳐나는데도 계속 이를 부인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북한이 정치범 수용소 해체, 사형제 폐지, 고문방지협약 비준, 국제노동기구(ILO) 가입 등 유엔 회원국들의 권고 144개를 거부했습니다. 최근 실시된 국가별 정례검토(UPR)에서 제시된 전체 권고 중 약 절반을 거부한 것입니다.
미국 정부가 북한의 인권 침해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미 중서부 미주리주 의회에서 발의됐습니다. 결의안엔 북한 정권의 지속적인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미국 전문가들은 한국전쟁 종전 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한반도 평화법안’이 미 하원에서 재발의된 것과 관련해 북핵과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이 선행돼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북한이 평화협정 체결에 관심이 없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북한 인권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 정부가 주민들에 대한 통제와 억압을 강화하면서 공개 처형과 강제노동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국제인권단체 프리덤하우스의 자유지수 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00점 만점에 3점을 받으며 전 세계 208개국 가운데 최하위권을 기록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제 58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에서 일본 정부는 북한에 납치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북한 인권 단체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호소했습니다. 한국의 북한 인권 단체들은 북한의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책임 추궁 활동 등이 위축될 위기라고 전했습니다.
한국 외교차관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을 거론하며 북한의 인권 침해와 국제 평화 및 안보가 직결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체코와 네덜란드도 북한과 러시아의 인권 침해를 비판하고 국제 인권 규범 준수를 촉구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