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탈북민 강제북송 문제에 대한 워싱턴의 관심이 과거보다 많이 높아졌다고 북한 외교관 출신 태영호 한국 국회의원이 말했습니다. 최근 워싱턴을 방문해 상·하원 의원과 정부 관리들을 만난 태 의원은 이들이 강제북송 반대 운동에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또 유엔총회 북한인권결의안에 중국이 비준한 고문방지협약이 들어간 것은 진전이라며 향후 중국에 대한 유엔 인권이사회의 UPR 심의를 겨냥한 캠페인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영국 정부는 북한 인권 상황을 깊이 우려하고 있으며, 북한에 인권 개선을 압박하고 있다고 외무부 고위 관리가 밝혔습니다. 중국에도 탈북 난민 강제 북송 중단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유럽연합(EU)이 유엔총회에 제출한 북한인권결의안 초안을 통해 북한 정권의 절대적인 사상 통제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탈북민 북송 문제를 언급하면서도 강제 송환 주체가 중국임을 명시하진 않았습니다.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는 고문방지협약이 추가된 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미국 공화당의 팀 버쳇 하원의원이 중국의 탈북민 강제 북송을 강한 어조로 비난했습니다. 특히 중국의 이번 조치에 대한 혐오감을 나타냈습니다.
한국 외교부가 최근 탈북 다큐 상영회를 개최한 것은 윤석열 정부가 북한 인권을 부각하는데 관심이 많다는 방증이라고 수미 테리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평가했습니다. 영화의 공동 제작자인 테리 전 보좌관은 9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탈북민 북송 문제를 강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테리 전 보좌관은 또 그동안 북한 핵 문제에만 관심을 쏟았던 미국 정부가 인권을 포함한 포괄적인 대북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한국의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는 중국의 탈북민 강제북송에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에게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이 대사는 7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전하며 유사 입장을 가진 국가들의 국제 연대까지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사는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해서는 다른 국제적인 이슈와 통합하는 방식의 국제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지난달 9일 중국 정부가 탈북민 수백 명을 강제 북송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행방은 전혀 알 길이 없고 지금도 중국에서는 탈북민들이 계속해서 체포·구금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문가들은 국제사회가 중국을 더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탈북민들이 북한으로 송환돼 생사를 확인할 길 없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토로했습니다. 가까스로 북한에서 탈출한 배우자와 자녀의 북송을 ‘보이지 않는 학살’에 비유하며 국제사회에 중국 정부의 강제북송을 막아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영국의 찰스 3세 국왕이 탈북민 상황에 우려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국에 사는 탈북민들은 8일 런던 외곽의 한인타운을 찾은 국왕을 만나 잠시 환담했다며, 찰스 3세가 탈북민 가족의 가슴 아픈 사연을 경청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계인 미셸 박 스틸 미국 하원의원이 워싱턴을 찾은 ‘탈북민 강제북송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대표단을 만나 중국에 강제북송 중단을 촉구하는 의원들의 공개서한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국무부는 줄리 터너 북한인권특사의 대표단 면담을 확인하며 중국 정부는 탈북민 강제북송을 중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한국의 ‘탈북민 강제북송 비상대책위원회’가 6일 유엔본부가 있는 뉴욕에서 북송 반대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조용한 외교는 실패했다며 유엔에 중국 정부를 강하게 압박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6일 줄리 터너 북한인권특사의 취임식 소식을 전하며 북한 인권 증진에 대한 기대감을 피력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