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이란이 북한의 도움을 받아 장거리 핵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는 최근 보도에 대해 우려의 입장을 밝히면서, 유엔의 무기 금수 조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과 이란의 무기거래를 추적해온 전문가는 북한의 위성 기술이 이란 미사일에 적용됐고, 북한의 각종 미사일 부품과 기술 인력까지 이란에 제공되고 있다면서 북한과 이란, 러시아 간 협력에 국제사회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미국 국무부는 최근 언론을 통해 제기된 북한과 이란의 미사일 협력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은 12일 이란이 북한으로부터 설계도 이전 등의 도움을 받아 장거리 핵미사일을 개발 중이라는 영국 텔레그래프의 최근 보도와 관련한 VOA 논평 요청에 정보 사안에 대해서는 논평하지 않는다면서도 관련 보도 내용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해당 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와 1874호, 2270호에 명시된 북한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북한과 이란이 명백히 위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유엔은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실험 직후 채택된 대북결의 1718호를 통해 모든 회원국이 북한에 핵과 탄도미사일 관련 물자 수출을 금지했습니다.
또 2009년 6월 결의 1874호를 통해서는 모든 무기의 대북 수출을 금지하고 북한의 무기 수출도 전면 차단했고, 2016년 3월 채택된 결의 2270호를 통해서는 무기 수리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전을 포함해 북한의 모든 무기 관련 부품 및 기술의 수출을 전면 금지했습니다.
앞서 영국 언론 텔레그래프는 지난달 31일 이란 반정부 단체 국민저항위원회의 첩보를 인용해 이란이 북한으로부터 넘겨받은 설계도를 기반으로 사거리 3천km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이란 북부 샤흐루드와 셈난에 위치한 미사일 기지에서 북한이 설계에 관여한 시모르그 미사일이 개발되고 있다면서, 이란이 북한의 지원을 받아 최소 세차례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하는 등 핵무기 배치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국방정보국 정보분석관 출신으로 북한의 무기 거래 동향을 추적해온 브루스 벡톨 앤젤로주립대 교수는 북한과 이란이 미사일로 전용할 수 있는 위성 기술을 공유하고 있다면서, 북한의 위성 발사 로켓 은하-3의 기술이 이란의 시모르그 미사일에 적용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브루스 벡톨 / 앤젤로주립대 교수
“시모르그의 1단 추진체는 은하-3의 1단 추진체와 다를 바 없습니다. 본질적으로 은하-3을 개발할 때 북한은 노동 미사일의 엔진 4개를 결합해 훨씬 더 강한 추력을 만들어냈고, 이를 통해 보다 강력한 엔진을 완성했습니다. 이는 은하-3과 시모르그의 1단 추진체가 동일함을 의미합니다.”
벡톨 교수는 이어 북한이 이전한 미사일 기술은 위성 발사용으로 개발됐지만 탑재 탄두만 위성에서 핵탄두로 바꾸면 핵미사일로 전용 가능하다면서, 이란이 화성 15형 등 북한의 진일보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도 제공받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지난해 4월 북한 대표단이 이란을 방문했을 당시 미사일 기지를 직접 시찰한 것을 내부 소식통을 통해 확인했다면서, 이란이 단순 설계도 뿐 아니라 추진체와 부품, 기술 인력 등을 지원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브루스 벡톨 / 앤젤로주립대 교수
“분명히 이란은 계속해서 미사일을 개발·개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를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단순한 설계도만이 아닙니다. 이란은 북한으로부터 부품도 조달해야 합니다. 북한이 이란을 위해 시모르그 미사일을 개발했을 때, 북한 기술자들이 현지에 파견되어 있었습니다.”
벡톨 교수는 그러면서 북한과 이란의 관계는 상호 기술교류나 협력이 아니라 북한이 이란에 미사일을 확산하는 행위라며, 양국의 협력에 국제사회가 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VOA 뉴스 조상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