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FBI ‘대북제재 위반자’ 공개 수배…‘2배 이상’ 늘어


[VOA 뉴스] FBI ‘대북제재 위반자’ 공개 수배…‘2배 이상’ 늘어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05 0:00

미국 연방수사국FBI가 공개 수배 중인 대북제재 위반자가 최근 급증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었는데, 대부분 중국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나타나 주목됩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미국 연방수사국FBI가 공개 수배 중인 대북제재 위반자가 최근 급증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었는데, 대부분 중국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나타나 주목됩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미국 연방수사국FBI가 자체 홈페이지에 공개 중인 ‘지명 수배자’들입니다.

이름과 생년월일, 혐의 내용 등이 자세히 적시돼 있습니다.

이들 가운데 대북제재 위반으로 수배된 인물은 11일 현재 모두 26명입니다.

2023년까지만 해도 약 10명 수준이었던 관련 수배자는 불과 약 2년 만에 2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또 수배자가 2명에 불과했던 2020년과 비교하면, 대북제재 위반을 이유로 지명 수배되는 경우가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이같은 증가는 대북제재 위반 활동이 늘어난 이유도 있지만 관련 범죄자들에 대한 미국 법무부의 기소가 급증한 데 따른 것입니다.

현재 FBI의 지명 수배자 명단에 오른 인물은 북한 국적자가 19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과 싱가포르가 각각 2명씩으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그 밖에 스페인과 영국, 러시아 국적자가 대북제재 위반으로 FBI의 추적을 받고 있습니다.

북한 국적자 19명 중 18명은 불법 사이버 활동을 이유로 미국 법무부에 기소돼 결국 수배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경우입니다.

특히 지난해 12월, 해외 기업에 ‘원격’ 근무 방식으로 위장 취업하거나 이들의 취업을 알선한 북한 IT 회사 직원과 관계자 등 14명이 대거 기소되면서, 그 수가 크게 늘었습니다.

이들이 ‘중국’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점도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FBI는 이들이 중국과 연계되거나, 중국을 방문할 수 있다는 내용을 수배 전단지에 명시했습니다.

이들이 원격 취업 방식으로 미국 등 해외 기업에 취업했지만, 실제로 업무를 본 곳은 중국으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FBI는 또 중국 등지에서 활동하며 북한에 담배 판매를 촉진하고, 북한으로 자금을 송금하거나 세탁한 혐의로 북한 은행원인 심현섭과 중국인 칭궈밍, 한린린을 2023년 수배한 바 있습니다.

결국 현재 대북제재 위반을 이유로 FBI에 수배된 26명 중 중국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인물은 절반 이상인 17명입니다.

이미 미국 수사 당국에 체포돼 재판을 앞두고 있는 중국인도 있습니다.

미국 법무부는 북한의 위조 담배 제조·판매를 도운 혐의로 지난해 9월 중국인 진광화를 호주에서 체포해 미국으로 이송했으며, 또 지난 12월에는 북한에 무기를 밀수출한 혐의로 중국인 남성 웬성화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체포해 기소했습니다.

앞서 VOA는 진광화와 웬성화의 법원 기록을 분석해, 이들이 한국어를 구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들이 중국에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조선족, 즉 한국계 중국인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