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중국산 재료로 만든 가발과 손목시계 수출을 크게 늘린 가운데, 실제로 북한의 전체 수출에서 ‘주문자 생산방식’ 무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의 수출품의 상당수가 중국의 하청을 받아 제조하는 물품들인데, 그만큼 중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경제 구조라는 걸 의미합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북한과 중국의 무역 현황이 나타나는 중국 해관총서 자료입니다.
북한이 지난 한 해, 중국에 수출한 물품의 총액은 3억4천735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총 153개 품목을 중국의 16개 성에 수출하며 북한이 벌어들인 금액입니다.
거래 유형은 상당 부분이 ‘역외가공’으로 기입돼 있습니다.
금액으로는 1억9천539만 달러, 전체 수출액의 56%에 이릅니다.
북중 간 역외가공은 북한이 중국산 부품을 들여와 완제품 형태로 재수출하는 방식의 무역으로, 통상 주문자생산방식 OEM 거래가 해당합니다.
‘역외가공’ 방식을 이용한 북한의 대중국 수출은 전년도인 2023년까지만 해도 49%, 즉 절반에 못 미쳤지만, 지난해에는 이 비중이 7%p나 급증했습니다.
최근 VOA는 해관총서 자료를 분석해 북한이 중국에 손목시계 수출을 크게 늘렸으며, 이 거래가 ‘역외가공’ 방식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은 또 중국에서 머리카락을 대량으로 들여와 가발 완제품으로 만들어 파는 무역 양상도 보이고 있습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손목시계는 지난해 1억3천688만 개가 북한에서 중국으로 건너갔습니다.
하지만 손목시계 1개의 수출액은 단돈 11센트로, 시계 제조 강국인 일본의 1달러 47센트나 스위스의 3달러 42센트의 판매액에는 크게 못 미칩니다.
또 북한이 제조한 가발 역시, 전체 대중국 수출품 가운데 가장 많은 수출액 1억8천만 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를 위해 북한은 중국에서 머리카락 약 1억6천889만 달러어치를 수입했습니다.
이처럼 가발과 손목시계와 같은 OEM 품목의 수출이 늘어나면서 북한의 대중 수출 유형에서 ‘역외가공’도 함께 증가한 것입니다.
사실상 한 국가의 수출품 절반 이상이 ‘OEM’ 제품이라는 것은 정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북한이 중국의 하청 국가로 전락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의 ‘역외가공’은 미국 제재에 대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북한이 생산한 품목이 중국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 즉 중국산으로 둔갑해 미국 등 다른 나라로 향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미국을 포함해 전 세계 최대 가발 수출국인 중국은 지난 북한으로부터 2천620t이나 수입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