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미국 핵추진 잠수함의 부산 입항을 정찰위성을 통해 포착했다고 과시하면서 미국과 한국의 대비태세를 비난했습니다. 그러나 이같은 포착은 민간 위성 사진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며, 실제로 북한의 잠수함 기동 장면이 민간 위성 사진으로 선명히 포착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찰위성이 아니라도 북한의 민감한 군사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인데, 전문가들은 다만 북한이 정찰위성을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일정 부분 진전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북한 잠수함 건조 및 운용의 거점으로 알려진 함경남도 신포 조선소 인근 해상의 모습입니다.
지난해 10월 19일 촬영된 구글 어스 위성사진에 약 76m 길이의 잠수함이 수면 위로 드러난 모습이 선명하게 포착됐습니다.
잠수함에서 연기가 배출되는 것도 확인됐는데, 북한 잠수함 대부분이 디젤 연료 추진 방식임을 고려할 때 어디론가 이동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디젤 잠수함은 수면 위에서 기동을 위해 엔진을 가동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연기를 배출하는 데 잠수함 뒤로 옅은 파도와 물결이 인 흔적도 발견돼 이 같은 추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군사 시설인 신포 조선소 내 동향도 구글 어스나 플래닛 랩스 등 민간 위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포 조선소에 정박 중인 북한 잠수함의 길이와 상태, 잠수함 진수를 위한 드라이 도크의 변화, 인근 마양도에서 출격 대기 중인 잠수함 및 군함과 보수 중인 잠수함의 모습들을 모두 일일 단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24일 담화를 통해 미국 핵 추진 잠수함인 버몬트함의 한국 부산 입항을 위성을 통해 분초 단위까지 포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은 이처럼 한국의 주요 군사 시설을 정찰 위성을 동원해 촬영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북한 잠수함의 기동 장면과 주요 시설의 동향은 정찰위성을 따로 띄우지 않아도 이처럼 상업 위성을 통해 상세히 내려다볼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상업용 민간 위성보다 성능이 훨씬 더 우수한 군사 정찰 자산을 보유한 미국과 한국군 당국이 유사시 북한의 군사 역량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전문가들은 다만 위성 사진 화질 등 북한 정찰위성의 성능이나 역량과는 별개로 만리경 1호가 정상 가동 중일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조너선 맥도웰 /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박사
“북한이 구체적인 시각을 발표했고, 그 시각 위성이 부산 상공을 지나고 있었다는 점에서 이번 경우에는 북한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마르코 랭브로크 네덜란드 델프트 공대 항공우주공학부 교수는 25일 VOA에 북한의 만리경 1호가 올해 2월과 6월, 9월에 궤도를 올랐고, 오는 12월쯤에도 한 차례 더 궤도를 상승시킬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는 북한이 위성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위성을 통제하고 적극적으로 궤도를 조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위성 영상 수신도 가능하다며, 외부의 도움 여부와 관계없이 우주 프로그램에서 일정 부분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VOA 뉴스 안준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