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 ‘개성공단 무단 가동’…‘통근 버스’ 40여 곳 운행


[VOA 뉴스] 북한 ‘개성공단 무단 가동’…‘통근 버스’ 40여 곳 운행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20 0:00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실험으로 폐쇄됐던 개성공단 공장 부지가 무단으로 가동되는 정황이 지속적으로 포착됐습니다. 이번에는 공장부지 약 40곳에서 통근 버스가 포착됐는데, 3개월 전보다 움직임이 2배 늘어나 북한의 무단 가동 정황이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실험으로 폐쇄됐던 개성공단 공장 부지가 무단으로 가동되는 정황이 지속적으로 포착됐습니다. 이번에는 공장부지 약 40곳에서 통근 버스가 포착됐는데, 3개월 전보다 움직임이 2배 늘어나 북한의 무단 가동 정황이 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북한 개성공단 지역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의 4일 자 위성사진입니다.

과거 한국 업체들이 운영하던 공장 앞 부지 곳곳에 파란색 버스가 서 있는 장면이 포착됐습니다.

버스가 발견된 건물 앞 공터는 모두 42곳.

앞서 VOA는 지난 4월 개성공단 내 21곳의 건물 앞에 버스와 사람들, 자재 등을 포착해 보도했는데, 불과 3개월 만에 해당 지역 버스 정차가 두 배로 늘어난 것입니다.


버스는 지붕 일부분이 하얀색으로 돼 있습니다.

과거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가 북한 근로자 출퇴근 편의를 위해 제공한 현대자동차의 대형버스 ‘에어로시티’가 확실해 보입니다.

에어로시티는 지붕에 하얀색의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돼 있어 위성사진만으로도 쉽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한때 근로자 통근용으로 운행돼 온 한국 측 버스가 개성공단 건물에 지속적으로 정차하는 정황은 북한이 해당 공장을 무단으로 계속 이용하고 있다는 근거가 됩니다.

해당 버스들이 정차하는 공장 부지는과거 한국 중소업체, 재영솔루텍과 대덕전자, 신원에벤에셀 2공장, 로만손, 풍양상사 등으로 파악됐습니다.

업종 별로는 섬유와 봉제, 의류 업체가 17곳으로 가장 많았고, 가죽∙가방, 신발 제조 업체와 복합 업종이 각각 6곳씩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그 밖에 전기∙전자 업체 3곳, 기계∙금속 2곳, 기타 제조업 2곳, 화학업종 1곳 등에서 버스가 발견됐습니다.

개성공단 내 도로에는 승합차나 소형 트럭 차량들이 다니는 모습이 포착됐고, 일부 공장 건물 앞에는 자재 더미로 추정되는 물체들이 위성사진에 잡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내 공장 건물과 각종 장비와 설비는 모두 한국 측 자산으로, 북한이 이를 이용하는 것은 명백한 자산 침해라는 입장입니다.

통일부는 지난 6월 북한의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으며, 현재는 개성공단 무단 가동과 관련해서도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구병삼 / 한국 통일부 대변인 (지난 6월 14일)

“북한에 우리 정부 및 우리 국민의 재산권 침해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고 원칙 있는 통일 대북정책을 통해 상호 존중과 신뢰에 기반한 남북관계를 정립해 나갈 것입니다.”

개성공단은 지난 2000년 남북정상회담 개최 이후 당시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돼 2005년 가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120여 개 한국 기업체가 입주해 최대 5만 명에 이르는 북한 근로자를 고용해 북한 정권은 매년 수억 달러를 챙겨왔었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이렇게 벌어들인 자금으로 핵과 미사일 실험을 거듭 감행하자 한국 정부는 2016년 2월 개성공단 운영을 전격 중단하고 폐쇄를 결정했습니다.

이후 북한은 한국 측 자산에 대한 전면 동결을 선언했으며, 지난 2020년엔 한국 탈북민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를 문제 삼으며 개성공단 내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