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 억류자·국군포로’ 가족… 바이든에 ‘서한’


[VOA 뉴스] ‘북한 억류자·국군포로’ 가족… 바이든에 ‘서한’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43 0:00

한국의 국군포로와 억류자 가족들이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미한동맹과 6·25 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 노력을 지원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이들은 또 별도로 마련한 정책제안서를 통해 유엔이 앞으로 채택할 북한인권결의안에 피해자의 국적을 명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한국의 국군포로와 억류자 가족들이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미한동맹과 6·25 한국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생사 확인과 유해 송환 노력을 지원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이들은 또 별도로 마련한 정책제안서를 통해 유엔이 앞으로 채택할 북한인권결의안에 피해자의 국적을 명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한국 내 국군포로와 납북자, 억류자 가족들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입니다.

손명화 6.25 국군포로가족회 대표가 작성한 이 서한에는 북한에 있는 국군포로의 조속한 송환을 위해 바이든 대통령이 힘써달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손명화 / 6.25 국군포로가족회 대표
“잊혀진 국군포로, 버려진 국군포로에 대한 삶을 미국 국무부와 정부에서 우리를 버리지 마세요. 저는 이렇게 외치고 싶고. 우리에게도 인권이 있다, 국군포로의 인권을 소중히 여겨달라, 국군포로들을 송환을 못했지만 국군포로 유해라도 송환해 주세요. 저는 이 말씀 한마디를 드리고 싶습니다.”

손 대표는 이 서한을 한국을 방문한 정 박 국무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 겸 대북특별부대표를 만나 전달했습니다.

7일 서울 주한 미국 대사관에서 이뤄진 이번 만남에는 북한에 10년째 억류 중인 김정욱 선교사의 형 김정삼 씨, 이미일 6·25전쟁납북인사가족회 이사장,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 황인철 1969년 KAL기납북피해자가족회 대표, 손명화 6·25 국군포로가족회 대표가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보내는 친필 편지와 정전협정 70주년을 기념한 정책 제안서, 납북자 관련 자료집을 박 부차관보에게 전달했습니다.

정책제안서에는 유엔 인권이사회가 다음 달 채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인권결의안에 국군포로의 제네바협약 송환권, 국군포로와 후손들이 겪는 강제노동과 노예화, 가족 분리 등 인권 침해를 명시해 주길 바란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북한에 10년째 억류 중인 김정욱 선교사의 형 김정삼 씨도 바이든 대통령에게 보내는 친필 서한을 박 부차관보에게 전했습니다.

김정삼 씨 / 북한 억류 김정욱 선교사의 형
“이 자리에서 오늘 편지를 드리는 것은 (억류자들의) 생사 확인을 통해 또 석방과 송환을 통해 미국 국무부와 조 바이든 대통령, 이신화 대사님과 여러 유엔과 협력해서 귀한 일들을 나타냈으면 좋겠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은 역대 한국 정부가 비전향 장기수 수십 명을 인도적 차원이라며 북한에 보내고도 단 1명의 납북자나 국군포로조차 데려오지 못한 현실을 지적하고 그러나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희망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최성룡 / 전후 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
“윤석열 정부에서 끝날 게 아니라 이제 시작으로 간절히 부탁하고. 국무부는 일본인 납북자분들 뒤에 우리 한국 납북자들도 꼭 거론해 주시리라 믿고...”

한국 통일부와 국방부는 전시 납북자를 8만~10만 명, 전후 납북자는 516명으로 추산하고 있고, 억류자는 김정욱, 김국기 선교사 등 6명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정 박 국무부 부차관보는 이날 피해자 가족들의 얘기를 경청한 뒤 워싱턴에 돌아가 이를 상부에 보고할 것이라며, 여러분의 목소리와 납북자, 국군포로, 억류자, 북한 주민들의 인권 증대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