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찰위성 개발에 나선 북한이 한국 서울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공개하며 위협 강도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최고 보안시설은 이미 미국의 상업용 위성사진 서비스를 통해 아무 제한 없이 일반에 공개되고 있는데, 특히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집무실과 관저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평양의 최고 보안 시설을 위성사진을 통해 들여다봤습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집무실로 알려진 ‘노동당 1호’ 청사입니다.
‘구글 어스’를 통해 들여다본 이 위성사진은 부지 내 가로등까지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화질이 좋습니다.
사각형 모양의 건물 3개가 서로 연결돼 있고, 반경 약 600m 지점부터 최소 3개의 경비 초소를 지나야 1호 청사에 도착할 수 있는 등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동당 1호 청사는 지난 5년간 여러 공사를 벌였습니다. 2017년에는 청사 주건물은 가운데가 비어 있는 형태였지만 이듬해 중심 부위에 지붕이 덮이면서 하나의 건물처럼 됐습니다.
또 주건물과 서쪽에 붙어있는 건물도 기존엔 양옆 통로만 연결돼 있었지만 지금은 통로 부분에 지붕이 씌워진 모습입니다.
주건물 남쪽에 붙어 있는 정사각형 형태의 건물 바로 옆 도로에는 2020년 9월과 2021년 3월 포장 공사가 진행됐는데, 멀쩡한 도로에서 두 차례나 공사가 진행됐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노동당 청사의 남쪽 건물 바로 앞에는 터널 입구가 보입니다. 입구만으로는 어떤 용도인지 파악할 수 없지만 긴급 상황을 위한 것인지 주목됩니다.
터널 입구 바로 윗부분에는 정원이 조성돼 있습니다. 정원을 따라 남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는 김정은 위원장의 거주지로 알려진 ‘15호 관저’가 나옵니다.
물론 실제 김 위원장의 거주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높은 담이 이 주택을 둘러싸고 있는 점으로 볼 때 평범한 주택이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해 보입니다.
또 관저의 북쪽 끝부분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건물이 연결돼 있는데, 이 건물은 바로 앞 정원의 아랫 부분과 맞닿아 있습니다.
이 정원 아래 또 다른 지하 시설이 있다는 의미로, 이 건물이 관저와 지하 시설의 연결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관저 입구에서 바깥쪽으로 약 50m 떨어진 곳에는 또 다른 터널 입구를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상업용 위성사진의 화질이 최근 몇 년간 크게 개선되고 또 이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도 높아지면서 북한의 민감한 시설도 아주 쉽게 관측할 수 있게 됐습니다.
마찬가지로 서울 용산의 한국 대통령 집무실이나 미국 워싱턴의 백악관을 위성사진을 통해 보는 것도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따라서 북한이 정찰 위성을 개발한다면 현재 민간 차원의 인공위성 기술을 능가해야 하지만 북한은 미국의 민간 위성 기술 수준조차 뛰어넘기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닉 한센 / 스탠포드대 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
“우주에서 사진을 찍으려면 첫 번째 단계로 무언가를 궤도에 올려야 합니다. 그런데 북한은 2개의 위성을 궤도에 올렸고 이후 몇 개를 더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했습니다. 궤도에 올라선 위성도 제가 알기론 실패했습니다.”
한센 연구원은 위성을 궤도에 올린다고 해도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 사진을 찍는 것은 또 다른 일이라며 다른 우주 강국들도 여러 차례 실패를 거쳐 기술을 확보했다고 지적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