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나라 가나가 11월 유엔 안보리 의장국을 맡았습니다. 가나 대표는 회견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과 최근 잇따르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우려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북한과의 금융거래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는 통지문을 발표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김정규)
해럴드 애즈먼 유엔주재 가나 대사는 11월 의장국 자격으로 1일 기지회견을 열었습니다. 애즈먼 대사는 북한 문제와 관련된 기자 질문에 북한의 도발에 많은 유엔 회원국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해럴드 애즈먼 / 유엔주재 가나 대사 (11월 안보리 의장)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핵실험 가능성은 많은 안보리 이사국들의 우려 사안입니다. 안보리가 개최한 공개회의를 돌이켜보면 많은 이사국들이 그 문제에 우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애즈먼 대사는 그러면서 북한은 지난 15개월 동안 전례 없는 강도와 다양성으로 미사일 프로그램을 가속화해왔다면서 올해에만 대략 40차례의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북한의 행동에 대해 안보리의 추가 조치가 현재 쉽지 않다면서, 중국과 러시아를 우회적으로 지적했습니다.
해럴드 애즈먼 / 유엔주재 가나 대사 (11월 안보리 의장)
“북한에 취하기로 결정한 행동을 모든 이사국들이 지지할 수 있을 때만 안보리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안보리는 과거 북한의 준수 의무가 있는 여러 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재무부는 돈세탁 등 불법 금융 거래와 관련해 북한 등을 고위험 국가로 유지하기로 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의 최근 결정을 미국 금융기관들에 통보했습니다.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단속반은 지난달 31일 미국 금융기관들은 의무사항과 위험에 기반한 정책과 절차, 관행을 검토할 때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금융기관들은 북한이나 이란의 금융기관들을 위해 직간접적인 계좌 개설이나 유지를 제한하고 금지하도록 한 미국의 광범위한 조치를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FATF는 지난달 20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총회 결과 발표문을 통해 북한과 이란을 돈세탁과 테러 자금 방지 노력과 관련한 위험등급에서 최고 수준인 ‘대응 조치를 필요로 하는 고위험 국가’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는 지난 2011년 ‘주의 조치국’이던 북한을 금융거래 ‘고위험 국가’로 상향 조정한 뒤 11년째 유지하고 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