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개발 초기’ 단계”


[VOA 뉴스] “북한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개발 초기’ 단계”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50 0:00

북한이 지난 28일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미사일로 성공적인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의 신형 미사일이 개발 초기 단계로 실전배치까지 상당 기간 걸릴 것으로 평가했고, 전문가들은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발사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 논의가 더 어려워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북한이 지난 28일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미사일로 성공적인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의 신형 미사일이 개발 초기 단계로 실전배치까지 상당 기간 걸릴 것으로 평가했고, 전문가들은 북한의 계속되는 미사일 발사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 논의가 더 어려워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조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북한 대외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국방과학원이 28일 오전 자강도 룡림군 도양리에서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 8형의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처음으로 도입한 앰풀화된 미사일 연료 계통과 발동기의 안정성을 비롯해 여러 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했다면서 설계상 요구가 만족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앰풀화는 액체연료를 주입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기술로, 미사일 발사 직전 연료를 주입하는 시간이 필요 없어 기존의 액체연료 공급 방식보다 신속한 발사가 가능합니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8차 노동당 대회에서 개발을 공언했던 새 무기체계로 음속의 5배 이상 속도로 코스를 바꿔가며 활강하는 것으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만 보유한 기술이며 현존 미사일 방어체계로는 요격이 불가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그러나 탐지된 북한 미사일의 속도 등 제원을 분석했을 때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초기 단계로 실전 배치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 극초음속 미사일은 보통 마하 5 이상의 속도를 내야 하는데 미한 정보당국에 탐지된 북한 미사일의 속도는 마하 3 정도에 머물러 개발 초기 단계로 보고 있으며, 현재 미한 연합자산으로 탐지와 요격이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주장한 극초음속 미사일은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이 아닌 탄도미사일에 기반한 극초음속 활공체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극초음속 활공체는 정점고도까지 상승할 때는 탄도미사일처럼 보이지만, 이후 추진체로부터 분리된 비행체가 목표물을 향해 하강할 때는 순항미사일과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데, 김 교수는 지난 1월 8차 당 대회 때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 개발이라고 한 언급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신범철 외교안보센터장은 유엔 결의 위반에 해당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계속되면서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 논의는 더 어려워졌으며 북한은 미사일 발사에 대한 한국 정부의 반응을 보면서 남북 정상회담 카드를 활용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신범철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종전선언의 파트너가 남북만이 아니잖아요.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종전선언에 동의해 줄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요. 다만 북한 기준으로 문재인 정부가 북한의 뜻을 잘 이행한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정상회담을 해 줄 가능성이 있다고 봐요.”

한국 정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조한범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향후 지속적인 핵 능력 고도화와 미사일 개발 강화를 통해 미국과 한국을 압박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협상의 문을 열어 놓는 듯한 담화를 내놓으면서 동시에 핵 능력 고도화와 전술핵, 국방현대화 명목의 활동을 지속하는 이중전략을 펼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VOA뉴스 조상진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