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주로 초대형 동상 건축으로 외화벌이를 했던 북한이 최근에는 소규모 공사에까지 손을 대면서 계속 외화벌이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아프리카의 북한 노동자들은 임금의 80% 이상을 북한 당국에 바치는 등 ‘강제 노동’의 피해자라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김정규)
네덜란드 레이든 대학교에서 북한과 아프리카의 외교, 군사, 경제적 협력 등을 연구해 온 티코 밴데르훅 연구원은 25일 미국 동서센터가 개최한 화상 토론회에서 북한이 벌이는 아프리카 내 외화벌이 사업이 다양해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동안 대형 동상 건립 중심이었던 외화벌이가 이제는 수영장같은 작은 공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티코 밴데르훅 / 네덜란드 레이든대 연구원
“최근 몇 년 동안 평양에 본사를 둔 만수대 같은 큰 회사가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흥미로운 연구를 통해 작은 기관들이 대형 동상이 아닌 작은 건축물들을 만든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우회적인 공사들 이를 테면 수영장 같은 것들입니다.”
실제로 VOA는 지난 2019년 북한의 만수대 창작사의 해외 법인이자 대북제재 대상인 ‘만수대 해외 프로젝트 그룹’이 서아프리카 세네갈에서 ‘코르만 컨스트럭션’이라는 위장회사를 차려 주택과 호텔, 공장 건설에 나선 사실을 확인해 보도한 바 있습니다.
밴데르훅 연구원은 북한이 작은 공사까지 손을 대는 것은 제재 이행에 대한 미국의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티코 밴데르훅 /네덜란드 레이든대 연구원
“유엔 안보리 전문가패널이 이런 상황을 질의해도 (아프리카 나라들은)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유엔의 압박은 중요하지 않았지만 미국의 압박은 더 중요하게 인식됐습니다.”
밴데르훅 연구원은 이어 북한 해외 노동자들은 임금의 80% 이상을 당국에 바치고 있다면서
이들의 외화벌이 상황을 ‘강제 노동’으로 규정했습니다.
티코 밴데르훅 /네덜란드 레이든대 연구원
“북한 노동자들이 임금의 80%를 당국에 바치고 있다는 증거를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그들에게는 해외에서 여권 소지가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일정 임금 수준을 맞추기 위해 추가 노동을 해야 했고 자유롭게 그 나라를 다닐 수도 없었습니다.”
실제로 VOA는 세네갈 내 북한 외화벌이 상황을 보도할 당시 ‘코르만 컨스트럭션’의 재정자료를 입수해, 북한 노동자들의 월급이 현지인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100달러 수준이며, 회사 수익금 가운데 대부분은 북한 당국에 상납돼 북한 노동자들이 강제 노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벤데르훅 연구원은 북한이 소규모 공사를 통해 벌어들이는 외화도 합쳐보면 규모가 크다는 사실을 예상할 수 있다면서 현재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