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북한 비핵화 협상 재개를 거듭 촉구하면서도 북한 등을 대상으로 하는 해상 제재 주의보 발령 등 제재 이행의 압박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압박과 대화 병행 기조 속에 비핵화 협상 진전은 북한의 결정에 달린 일이라는 미국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메시지로 분석됐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강양우)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집중하면서도 북한 문제에 대한 입장을 거듭 밝혀왔습니다.
북한 비핵화를 위한 협상에 북한이 다시 나와야 한다면서 대화 의지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마이크 폼페오 / 미국 국무장관 (지난달 29일)
“미국의 임무는 여전히 같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2018년 싱가포르에서 한 합의 즉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된 비핵화를 실행에 옮기는 겁니다.”
마크 내퍼 국무부 한국 일본 담당 부차관보도 미국은 북한과의 외교에 열려있고 협상 재개를 희망한다며 북한의 호응을 촉구했습니다.
마크 내퍼 / 미국 국무부 부차관보 (지난 5일)
“미국은 여전히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 공동성명의 약속을 이행하는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다시 마주 앉을 수 있길 고대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와 동시에 기존 제재를 강화하면서 대북 압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무부와 재무부, 국토안보부 등 3개 부처는 14일 합동으로 북한 등의 불법 해상 활동과 관련한 해상 제재 주의보를 발령했고, 하루 전인 지난 13일에는 재무부가 대북 제재 대상과의 거래 금지 규정을 명문화해 민간 부문에 환기시키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지난달에는 국무부와 재무부 등 연방 4개 부처들이 합동으로 북한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주의보를 발령하고 대북 제재 위반 시 제3자 금융 제재를 부과하는 ‘웜비어법’의 시행을 알리는 제재 개정안도 발표했습니다.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재단 선임연구원은 이같은 미국의 기조에 대해 핵 협상 진전과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했습니다.
국제사회 압박 속에 북한에 협상 재개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면서 이를 거부하는 책임은 김정은에게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특히 미국과 한국 등 국제사회는 북한의 제재 위반 행동을 용인할 수 없기 때문에 김정은 위원장이 올바른 전략적 결정을 내릴 때까지 제재는 지속적으로 시행된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