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북한 남포 유류 항구에 40여 척의 유조선이 드나들면서 최대 100만 배럴 이상의 유류를 반입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면 중국과 러시아가 안보리에 공식 보고한 대북 유류 공급량은 15만 배럴에 불과합니다.
북한의 영양 부족 인구가 1천 180만 명에 달한다고 유엔 보고서가 밝혔습니다. 북한이 기록적인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던 지난해 조사 때보다 110만 명이 증가했습니다.
북한이 또다시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국가로 지목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만성적인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선 농업 기계화와 자유 시장 경제로의 전환 등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북한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낮은 '저소득국가'로 또다시 분류됐습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2023년 7월 1일을 기준 향후 1년간 국가별 소득전망에서 북한을 '저소득국가' 26개국에 포함시켰습니다.
스위스의 비정부기구가 또다시 북한을 인도적 지원을 위한 접근이 매우 어려운 국가로 지목했습니다. 특히 당국의 엄격한 신종 코로나 대응으로 위기가 악화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올해 쌀 수입이 신종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보다 약 5배 늘어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식량난보다는 북한 내 쌀 수요 증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북한 내 취약 계층과 영유아, 임산부 등을 위한 유엔아동기금의 대북 지원 사업이 또다시 1년 연장됐습니다. 북한의 국경 봉쇄에도 불구하고 일부 분야에서 대북 지원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오는 8월 4일 고 정몽헌 회장 20주기에 추모식을 위해 방북을 추진합니다.
한국과 일본의 경제 수장이 만나 북한의 무기 개발을 위한 불법 금융활동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최근 한일관계 개선으로 조성된 대북 협력이 경제 분야로도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한국과 일본이 1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유엔의 북한 관련 통계가 부정확하다는 지적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북한의 비협조와 유엔의 수동적 자세가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데이터 역량을 강화하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의 불법 금융 활동을 지원한 한국계 러시아인을 대북 독자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