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 비핵화 위해 ‘김정은 제재’ 노력했다”


[VOA 뉴스] “북한 비핵화 위해 ‘김정은 제재’ 노력했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32 0:00

미국 공화당의 코리 가드너 상원의원이 한반도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담은 고별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가드너 의원은 미국 의회의 첫 대북 제재법 제정을 주도하는 등 지난 6년간 상원에서 미국의 한반도 정책을 주도했는데,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제재 부과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이조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강양우)

미국 의회의 대표적 지한파 인사인 코리 가드너 상원의원.

지난 8일 상원 본회의장에서 고별 연설을 했습니다.

가드너 의원은 자신이 6년 임기 동안 최선을 다해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북 제재 관련 법을 제정하는 데 노력했다고 밝혔습니다.

코리 가드너 / 미국 상원의원

“지난 6년 동안 저는 북한 정권의 비핵화를 위해 김정은과 북한에 대한 최초의 의무적 제재를 통과시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외교위 민주당 간사인) 밥 메넨데즈 의원과 함께 일하게 돼 영광이었습니다.”

가드너 의원은 상원에 입성한 2015년부터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 소위원장을 맡으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잊혀진 미치광이’라는 별명을 붙이고 미국 행정부의 강경한 대북 조치를 촉구해왔습니다.

2017년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가드너 의원이 이른바 최고존엄을 모독했다며 그를 ‘인간 오물’ ‘정신병자’라고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가드너 의원은 바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대북 정책 기조인 ‘전략적 인내’를 강력히 비판하며 대북 제재 강화를 촉구해왔습니다.

특히 2016년 북한에 대한 미국 의회 최초의 제재법 ‘대북 제재와 정책 강화법’ 제정을 이끌어냈습니다.

CVID 즉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를 할 때까지 제재를 유지한다는 미국의 정책을 처음 명시한 법입니다.

가드너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인 ‘최대 압박’을 일관되게 지지해왔습니다.

싱가포르 1차 미북 정상회담 이후에는 최대 압박 완화를 우려하며 한국과의 연합군사훈련 재개와 추가 제재 부과 등 ‘완전한 복원’을 트럼프 행정부에 촉구해왔습니다.

코리 가드너 / 미국 상원의원 (지난해 9월)

“압박 말고 다른 어떤 것이 북한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북한은 제재를 가장 뼈저리게 느낄 때 대화에 관여할 겁니다.”

공황당 내 대부분의 의원들이 트럼프 행정부와 보조를 맞췄을 때도 가드너 의원은 북한과의 대화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코리 가드너 / 미국 상원의원 (지난해 3월)

“북한은 준비가 안 됐다는 점이 명확해졌습니다. 김정은은 싱가포르 회담 등 여러 차례에 걸쳐 비핵화 약속을 했지만 그 약속을 지킬 준비가 안 됐습니다.”

지난 11월 상원의원 선거에서 패한 뒤, 승리한 상대 후보를 위해 콜로라도 주민들이 단합해야 한다고 했던 코리 가드너 의원.

올해를 마지막 임기로 의회를 떠나는 가드너 의원이 이루지 못한 과제는 추가 대북 제재 법안 ‘리드액트’의 의회 통과입니다.

코리 가드너 / 미국 상원의원 (지난해 8월)

“의회는 북한에 대한 완전한 금수 조치를 담은 저의 제재 법안인 리드액트와 같은 것들을 반드시 통과시켜야 합니다. 동시에 백악관은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을 유지해야 합니다.”

가드너 의원은 대북 제재와 더불어 미한 동맹 강화를 위한 입법 활동의 중심에 서 있었습니다.

내년부터 상원에서 가드너 의원의 역할을 누가 이어가게 될지 주목됩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