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VOA 뉴스] 북한 무역 적자 ‘15억 달러’…‘암호화폐 탈취’ 충당 


[VOA 뉴스] 북한 무역 적자 ‘15억 달러’…‘암호화폐 탈취’ 충당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3:36 0:00

북한이 지난해 중국과의 무역에서 15억 달러에 육박하는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0년 간 누적 적자만 110억 달러가 넘는데, 최근 고환율 사태까지 겹친 북한은 지속적인 암호화폐 탈취를 통해 이런 부족분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김영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북한이 지난해 중국과의 무역에서 15억 달러에 육박하는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0년 간 누적 적자만 110억 달러가 넘는데, 최근 고환율 사태까지 겹친 북한은 지속적인 암호화폐 탈취를 통해 이런 부족분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김영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VOA가 중국 해관총서의 지난해 북중 무역수지 자료를 살펴본 결과 북한은 2024년 한 해, 중국에서 18억3천303만 달러어치의 물품을 들여오고, 중국에 3억4천735만 달러어치의 물품을 수출해 14억 8천 567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같은 북한의 대중국 무역 적자는 관련 기록이 남아있는 1990년대부터 매년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북한의 대중국 무역 수지 누적 적자액은 113억6천355만 달러이고,범위를 지난 30년으로 넓히면 적자 규모는 약 237억 달러로 집계됩니다.

북한은 2015년 석탄과 섬유 등에 대한 대중국 수출 증가로 적자폭이 3억 달러대에 머물렀지만, 국제사회 대북제재 체제가 강화된 2017년과 2018년 적자액이 각각 15억 달러와 20억 달러대로 급증했었습니다.

이어 2019년 사상 최대의 연 누적 적자인 23억 달러를 찍은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국경봉쇄 조치를 취한 2020년에서2022년까지 10억 달러 미만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다 중국과의 무역이 다시 활발해진 2023년 무역 적자는 17억 달러로 올라섰는데, 다만 지난해에는 북중 무역 총액이 소폭 하락하면서 전체 적자도 약 2억 달러 낮아졌습니다.

이는 북한 경제가 중국과의 무역을 더 많이 할수록 적자 규모가 더 늘어나는 기형적인 구조로, 다른 나라들과 달리 전체 무역의 90% 이상을 중국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브래들리 뱁슨 전 세계은행 고문은 북한이 적자 상황에서도 오랜 시간 생존하고 있는 것은, 중국이 송유관을 통하 원유 제공 등 무역자료에 남지 않는 비공식 방식으로 북한을 지원하고 있고, 북한도 암호화폐 등을 탈취하며 외화 부족분을 채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앞서 미국과 한국, 일본은 지난달 14일 암호화폐 탈취 등 북한의 사이버 범죄를 경고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면서, 작년 한 해에만 북한이 탈취한 암호화폐가 6억6천만 달러에 이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작년 북한의 대중 무역 적자액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는 액수입니다.

최근 ‘고환율’도 북한의 문제입니다.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는 올해 2월 기준, 북한의 환율을 미화 1달러당 2만원대로 밝히고 있습니다.

이는 8천원 수준이었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이상 오른 것으로, 북한이 체감하는 대중국 적자 규모는 훨씬 더 클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VOA 뉴스 김영교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