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외교부 부장관이 식량 부족 등 북한의 인도주의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또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에 대응하는 영국 정부의 노력의 연장선에서, 북한의 종교 박해에 대한 민간단체의 보고서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영국의 타리크 아마드 외교부 부장관은 북한에서 인도주의적 필요가 커지고 있을 수 있다는 데 영국은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북한 내 영양실조와 기아 실태에 대한 평가와, 북한 정부가 2025년까지 주민들에게 식량 섭취를 줄이라고 지시한 데 대한 영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데이비드 알톤 상원의원의 서면질의에 지난 11일 이같이 답했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이어 2019년에는 북한 주민들의 40%가 식량 부족을 겪었으며 지난해 1월부터는 국경봉쇄와 국내 이동 제한 등 북한 당국의 코로나 대응조치로유엔과 비정부기구 등 대부분의 국제 요원들이 북한을 떠나 북한 주민에 대한 구호품 분배와 지원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그러면서 구호요원들이 북한 내 인도주의 필요에 대한 독자적인 평가를 하고 취약한 공동체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북한 정부가 구호요원들의 입국을 허용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북한 주민들에 대한 인권 침해 사례들의 97%가 북한 당국자들의 소행으로 지적한 영국의 민간단체 ‘코리아 퓨처’의 최근 보고서 내용과 관련한 영국 정부의 평가와 유엔 인권이사회 제기 여부를 묻는 알톤 의원 질의에는 별도의 서면답변을 통해 영국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에 대응하는 맥락에서 보고서의 내용과 제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히고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응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특히 지난 3월 유엔 인권이사회를 상기시키면서 영국은 북한 인권에 대한 강력하고 명료한 결의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했다면서 영국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2014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최종보고서의 권고들에 후속 조치를 취하고, 북한 인권 침해에 대해 책임을 묻는 작업들을 위한 토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리타 프렌치 / 영국 국제인권담당 대사 (지난 3월, 유엔 인권이사회)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성에 기반한 인권 침해, 집회와 결사, 표현의 자유 침해, 자국민에 대한 자의적 구금과 처형 등이 포함됩니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에게 기본적인 경제적 필요를 채워주지 못하고 있으며 유엔의 인권 결의들도 거부하고 있습니다.”
영국은 북한과 대화하고 교류하면서도 민주주의와 인권, 법치 등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침해와 핵 문제는 적극 제기하는 비판적 개입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앞서 영국 외교부는 지난 7월 발표한 ‘인권과 민주주의’ 보고서에서 북한을 ‘인권 우선 대상국’으로 지정했습니다.
영국 정부는 인권 상황이 열악한 나라들을 인권 우선 대상국으로 지정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올해까지 6년 연속 북한을 명단에 올렸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
영국의 타리크 아마드 외교부 부장관은 북한에서 인도주의적 필요가 커지고 있을 수 있다는 데 영국은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북한 내 영양실조와 기아 실태에 대한 평가와, 북한 정부가 2025년까지 주민들에게 식량 섭취를 줄이라고 지시한 데 대한 영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데이비드 알톤 상원의원의 서면질의에 지난 11일 이같이 답했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이어 2019년에는 북한 주민들의 40%가 식량 부족을 겪었으며 지난해 1월부터는 국경봉쇄와 국내 이동 제한 등 북한 당국의 코로나 대응조치로유엔과 비정부기구 등 대부분의 국제 요원들이 북한을 떠나 북한 주민에 대한 구호품 분배와 지원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그러면서 구호요원들이 북한 내 인도주의 필요에 대한 독자적인 평가를 하고 취약한 공동체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북한 정부가 구호요원들의 입국을 허용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북한 주민들에 대한 인권 침해 사례들의 97%가 북한 당국자들의 소행으로 지적한 영국의 민간단체 ‘코리아 퓨처’의 최근 보고서 내용과 관련한 영국 정부의 평가와 유엔 인권이사회 제기 여부를 묻는 알톤 의원 질의에는 별도의 서면답변을 통해 영국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에 대응하는 맥락에서 보고서의 내용과 제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히고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응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마드 부장관은 특히 지난 3월 유엔 인권이사회를 상기시키면서 영국은 북한 인권에 대한 강력하고 명료한 결의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했다면서 영국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2014년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최종보고서의 권고들에 후속 조치를 취하고, 북한 인권 침해에 대해 책임을 묻는 작업들을 위한 토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리타 프렌치 / 영국 국제인권담당 대사 (지난 3월, 유엔 인권이사회)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성에 기반한 인권 침해, 집회와 결사, 표현의 자유 침해, 자국민에 대한 자의적 구금과 처형 등이 포함됩니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에게 기본적인 경제적 필요를 채워주지 못하고 있으며 유엔의 인권 결의들도 거부하고 있습니다.”
영국은 북한과 대화하고 교류하면서도 민주주의와 인권, 법치 등 인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침해와 핵 문제는 적극 제기하는 비판적 개입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앞서 영국 외교부는 지난 7월 발표한 ‘인권과 민주주의’ 보고서에서 북한을 ‘인권 우선 대상국’으로 지정했습니다.
영국 정부는 인권 상황이 열악한 나라들을 인권 우선 대상국으로 지정하기 시작한 2016년부터 올해까지 6년 연속 북한을 명단에 올렸습니다.
VOA 뉴스 조은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