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0일은 유엔이 지정한 강제실종 희생자의 날입니다.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 피해자는 2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북한은 국제사회의 생사 확인과 송환 요구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피해자 가족들은 일본은 납북 피해자들을 돌려보내라고 북한 정권에 요구하고 있는데 한국 정부는 그러지 못하고 있다면서 당당한 피해자 송환 요구를 촉구했습니다. 박동정 기자입니다. (영상편집: 김정규)
북한은 한국전쟁 기간뿐 아니라 휴전 상황에서도 한국민들을 납치했습니다.
정전협정 후 북한은 3천 835명을 납치했고, 이 가운데 516명은 아직도 북한에 억류돼 있는 것으로 한국 통일부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최성룡 ‘전후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자신이 15살이던 1967년, 서해 바다에서 조업을 하던 아버지가 북한에 납치돼 아직까지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 대표는 북한에 억류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516명 가운데 300명 정도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북한은 이들이 사망한 날짜라도 확인해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최성룡 / 전후 납북자 가족 모임 대표
“2000년도에 납북자회를 시작할 때에는 456명이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516명이 됐거든요. 내가 모시고 온 사람은 9명이에요. 구해온 사람은. 북한에 있는 사람들이 제 정보에 의하면 지금 3백 명가량은 다 돌아가셨어요. 우리 한국 사회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뭡니까? 돌아가셨으면 제사라도 지내야 하잖아요. 그 날짜도 안 알려줘요.”
최 대표는 또 납북자 문제를 꾸준히 국가 정책에 반영하는 일본 정부와 비교하면서 한국도 북한에 납북자 생사 확인과 송환을 당당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최성룡 / 전후 납북자 가족 모임 대표
“그리고 (한국 정부는 생사 확인을) 받아 오려는 책임감이 약해요. 그러니까 (한국 정부의) 자국민 보호가 결여됐어요.”
최 대표는 지난달 서울유엔인권사무소에 납북된 10명에 대한 생사 확인 요청서를 공식 전달했다며, 조만간 유엔이 이를 북한 당국에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는 지난 2014년 발표한 최종 보고서에서 북한이 1950년 이후 다른 나라 국민들을 조직적으로 납치함으로써 대규모 강제 실종 사태를 초래했으며, 북한에 의한 강제 실종 피해자는 2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유엔 산하 ‘강제적 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은 지난해 9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122차 정례회의 결과 보고서를 통해 1969년 대한항공 여객기 납치 피해자와 납북 어민 등, 강제실종 사건 12건을 북한에 통보하고 정보 제공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강제 실종 자체를 전면 부인하며 국제사회의 요구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수잔 숄티 / 북한자유연합대표
“북한에는 기아가 만연해 있습니다. 우리는 당신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원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아주 간단합니다. 당신들이 종전선언을 원합니다. 좋습니다. 그러면 모든 납북자들은 돌려보내세요.”
유엔은 지난 2010년 12월 채택한 결의를 통해 매년 8월 30일을 강제실종 희생자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강제실종은 국제 인권법에 의해 엄격히 금지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억압과 테러 등의 수단으로 전 세계에서 자행되고 있다면서 모든 나라가 강제 실종을 막고 희생자를 수색하며 가해자들을 수사, 기소, 처벌하는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박동정입니다.
북한은 한국전쟁 기간뿐 아니라 휴전 상황에서도 한국민들을 납치했습니다.
정전협정 후 북한은 3천 835명을 납치했고, 이 가운데 516명은 아직도 북한에 억류돼 있는 것으로 한국 통일부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최성룡 ‘전후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자신이 15살이던 1967년, 서해 바다에서 조업을 하던 아버지가 북한에 납치돼 아직까지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 대표는 북한에 억류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516명 가운데 300명 정도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북한은 이들이 사망한 날짜라도 확인해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최성룡 / 전후 납북자 가족 모임 대표
“2000년도에 납북자회를 시작할 때에는 456명이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516명이 됐거든요. 내가 모시고 온 사람은 9명이에요. 구해온 사람은. 북한에 있는 사람들이 제 정보에 의하면 지금 3백 명가량은 다 돌아가셨어요. 우리 한국 사회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뭡니까? 돌아가셨으면 제사라도 지내야 하잖아요. 그 날짜도 안 알려줘요.”
최 대표는 또 납북자 문제를 꾸준히 국가 정책에 반영하는 일본 정부와 비교하면서 한국도 북한에 납북자 생사 확인과 송환을 당당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최성룡 / 전후 납북자 가족 모임 대표
“그리고 (한국 정부는 생사 확인을) 받아 오려는 책임감이 약해요. 그러니까 (한국 정부의) 자국민 보호가 결여됐어요.”
최 대표는 지난달 서울유엔인권사무소에 납북된 10명에 대한 생사 확인 요청서를 공식 전달했다며, 조만간 유엔이 이를 북한 당국에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는 지난 2014년 발표한 최종 보고서에서 북한이 1950년 이후 다른 나라 국민들을 조직적으로 납치함으로써 대규모 강제 실종 사태를 초래했으며, 북한에 의한 강제 실종 피해자는 2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유엔 산하 ‘강제적 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은 지난해 9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122차 정례회의 결과 보고서를 통해 1969년 대한항공 여객기 납치 피해자와 납북 어민 등, 강제실종 사건 12건을 북한에 통보하고 정보 제공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강제 실종 자체를 전면 부인하며 국제사회의 요구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수잔 숄티 / 북한자유연합대표
“북한에는 기아가 만연해 있습니다. 우리는 당신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원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아주 간단합니다. 당신들이 종전선언을 원합니다. 좋습니다. 그러면 모든 납북자들은 돌려보내세요.”
유엔은 지난 2010년 12월 채택한 결의를 통해 매년 8월 30일을 강제실종 희생자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강제실종은 국제 인권법에 의해 엄격히 금지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억압과 테러 등의 수단으로 전 세계에서 자행되고 있다면서 모든 나라가 강제 실종을 막고 희생자를 수색하며 가해자들을 수사, 기소, 처벌하는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박동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