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조치로 국경을 봉쇄하면서, 대북 지원 물품 전달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세계농업기구는 석 달 만에 북한을 또다시 식량지원국에 포함시켰습니다. 안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상훈 / 영상편집: 강양우)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1명도 없다면서도 주민들에게 연일 방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보건 의료 체계가 취약한 북한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지원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사실상 국경을 봉쇄한 북한의 조치로 관련 지원 물품 전달이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제적십자연맹은 확진 검사기와 의료용 장갑, 보안경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지원 물품에 대한 제재 면제를 이틀 만에 승인받고 복잡한 물품 구매 과정도 해결했지만 물자 전달이 지연되고 있다는 겁니다.
리처드 블루위트 / 국제적십자연맹 유엔 상주 대표
“물자 수송 채널을 확보해야 합니다. 그래서 물자를 중국에 보내고 거기서 북한에 육로로 보내는 방안을 구상 중입니다.”
최근 대북 제재 면제를 받은 인도주의 지원단체들도 같은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북한에서 결핵 치료 사업을 벌이는 한 지원단체는 북한의 국경 폐쇄로 지원 물품 조달 등 활동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국 국정원은 북한 내 7천~8천 명을 자체 격리시킨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식량농업기구 FAO는 5일 ‘작황 전망과 식량 상황’ 1분기 보고서를 내고, 석 달 만에 또다시 북한을 식량지원국으로 재지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전체 북한 주민의 40%인 약 1천만 명에 대한 식량 지원이 시급하다면서 올해 식량 부족을 메우기 위한 식량 수입량을 158만 5천 톤으로 예상했습니다.
식량지원국에 포함된 국가는 44개로 아시아에서는 북한을 포함해 이라크, 미안마, 방글라데시 등 8개국이 지정됐습니다.
앞서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해 말 노동당 전원회의를 통해 북한의 농작물 생산이 전례 없는 대풍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세계식량기구 FAO의 북한 현지 농작물 수확량 조사는 북한의 거부로 6년째 이뤄지지 못하고 있어 원격탐사 장비 등을 이용한 식량 상황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VOA 뉴스 안소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