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전염병 대응은 평양에 집중돼 있으며 진단 장비와 격리 시설 등 지원이 없어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는다고 탈북민 출신 전염병 전문가가 지적했습니다. 국경을 차단했어도 밀수 경로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 당국이 투명하게 국제사회에 협력을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오택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북한 의사 출신인 최정훈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교수는 6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에도 전염병 방역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2012년 탈북 전까지 청진 철도국 위생방역소에서 전염병 대응을 전담했던 최 교수는 북한이 국경을 폐쇄하는 등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차단을 국가 존망에까지 연계시키고 있는 것을 이렇게 분석했습니다.
최정훈 /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연구교수
“작동을 잘 안 하니까 그렇게 야단법석을 떠는 겁니다. 북한의 전염병 방역 시스템은 갖춰져 있습니다. 작동을 안 한다는 것이 문제인 거죠.”
과거 전염병 사례를 보면 보건성 등에서 각종 방침이 하달되지만 현장에서는 격리 등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입니다.
열악한 의료 여건과 더불어 전염병 감염 여부를 진단할 장비가 미비한 점도 문제로 거론했습니다.
최정훈 /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연구교수
“병원이나 보건기관들의 전기와 상수도는 물론 진단할 수 있는 의료 장비가 보장 안 되기 때문에 이미 있는 낡은 설비도 가동할 수 없고 특히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같은 경우는 과학적으로 진단할 장비나 시약 자체가 없습니다.”
따라서 의사들이 직접 현장으로 나가 열이나 증상이 있는 사람을 찾아 격리시키는 게 현실이라는 겁니다.
최 교수는 국민의 안전을 먼저 고려하는 미국, 한국과 달리 북한의 전염병 대응은 평양, 지도부 보호가 우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최정훈 /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연구교수
“북한 차원에서는 ‘혁명의 수뇌부 결사옹위’ 다시 말하면 평양만 완전히 격패(격리)시킵니다. 전염병 발생 시에. 그러다 보니까 평양으로 향하는 모든 철도와 육로를 다 봉쇄합니다.”
최 교수는 북한 당국은 전염병 발병을 공개하기 꺼려하지만, 한국 등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협력을 요청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 교수는 공개된 세관은 차단했겠지만 겨울철 얼어 있는 강을 통해 밀수꾼들이 오고 갈 것이며, 과거에도 이런 경로로 전염병이 유입된 사례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VOA 뉴스 오택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