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권의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 추궁을 위해 국제사회가 압박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국제인권단체가 촉구했습니다. 외교 무대에서 북한의 안보 문제와 인권 침해를 함께 논의하도록 각국이 적극 나서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북한 유조선이 또다시 수상한 항적을 보였습니다.
15일 열린 미한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확인한 데 대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투 트랙 대북전략을 구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에 대한 핵우산 제공, 한일과의 대북 공조체제 유지를 재확인함으로써 한국 내 안보 불안을 완화시켰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미국과 한국, 일본의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3국은 북러 군사협력과 사이버 활동,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침해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의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미국 전직 관리들은 중국은 미한일 3국 공조 약화가 자국에 이익이라고 여겨 미한 및 한일 관계 분열을 상시 목표로 삼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중국은 한국을 가장 가까운 표적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미한일 3국 협력은 점증하는 북한과 중국의 위협에 맞서 필수적이며, 한국이 단호한 의지로 중국의 경제적·외교적 압박에 맞서 자국의 이익을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전술핵무기를 한반도에 배치할 경우 위기 상황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낮다고 전 미 국방부 차관보가 밝혔습니다. 전술핵 재배치 대신 인도태평양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맞춘 억지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오늘(15일) 조태열 한국 외교부 장관과 미한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했습니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미국의 미사일 방어 체계에 위협을 가한다는 미국 북부사령관의 최근 발언에 대해 북한은 “우리를 적대시한다는 것을 반증할 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