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인권단체들이 강제실종방지협약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한국 대통령에게 발송했습니다. 북한이 저지른 납치와 강제실종에 대한 법적 책임 규명의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세계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참가자들이 19일 일본 히로시마 원폭 투하 생존자들과 면담하고 히로시마 평화기념관에 헌화했습니다.
이달 초 어선을 타고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한국으로 온 탈북민 가족 일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에 따른 북한의 통제 강화를 견디다 못해 망명을 결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 내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대북 정보유입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탈북민과 전문가들이 강조했습니다. 이동식저장장치(USB)를 실은 무인기 평양 파견 등 다양한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1968년 북한 무장공비의 울진·삼척 침투 사건 당시 일가족 5명을 모두 잃고 고통 속에서 살다가 생을 마감한 피해자의 아들이 북한 측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1969년 한국의 대한항공 칼(KAL) 여객기 납북 사건 피해자 가족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건 진상 조사와 피해자 송환 노력을 촉구하는 공개서신을 보냈습니다. 이들은 북한의 범죄행위를 심판하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가족이 포함된 북한 주민들이 지난 6일 어선을 타고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한국으로 들어와 망명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지명자가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국제안보 사안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 인권 공개회의를 재개하고 인권 유린에 대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는 포부도 밝혔습니다.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들이 대북 정책과 관련해 북한 인권 문제 제기와 대북 정보 유입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탈북민들은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자유민주주의 원칙에 입각한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습니다.
독일 정부가 한국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인권과 법치 존중이 평화와 안보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과 캐나다 정상이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규탄하며 대화 복귀를 촉구했습니다.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협력도 다짐했습니다.
북한이 공정한 재판 없이 계속 사형을 집행하고 있다고 국제인권단체가 지적했습니다. 사형 집행과 관련한 구체적 정보의 투명한 공개도 촉구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