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의 조직적인 인권 침해를 규탄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내용의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한국은 5년 만에 결의안 공동제안국에 복귀했습니다.
심한 식량난을 겪고 있는 북한이 올해에도 봄 가뭄에시달리고 있습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시한 ‘알곡고지 점령’이 순탄치 않을 전망입니다.
유엔 인권이사회가 21년 연속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한 데 대해 국제인권단체들이 중요한 조치라며 환영했습니다. 인권 유린 사실 자체를 부인하는 북한을 압박할 국제적 연대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제 52차 유엔 인권이사회 폐막을 앞두고 북한인권 단체들이 윤석열 한국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국군포로와 억류자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북한인권 결의안에 한국인 억류자 6명의 이름과 국적을 언급할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북한 인권 운동이 주로 한국어를 통해 감정에 호소하던 방식에서 유창한 영어로 북한 인권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탈북 청년들은 북한인권 운동의 세대교체가 진행 중이라며 영어가 북한의 실상을 알리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처음으로 북한인권보고서를 공개한 것과 관련해 북한 반인도 범죄와 다른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추궁 노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미국 인권전문가가 평가했습니다. 국제사회가 대북 인권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한국 통일부가 30일 북한 내 인권 상황을 정리한 '2023 북한인권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미국 뉴욕시장이 북한 정권의 인권 유린을 규탄하며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앞 거리 이름을 ‘오토 웜비어 길’로 바꾸는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웜비어 모친은 도로명 변경이 북한 정권에 책임을 묻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중국 내 탈북민들이 겪는 인권 침해 실태를 계속 문제삼고 있습니다. 탈북민들이 국제기구에 도움을 요청하기도 어렵고, 강제송환 위험 속에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 인권 침해의 책임을 규명하려는 국제적 캠페인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유엔의 북한 인권 개선 활동을 지원하는 동시에 인권 실태 공개 등 자체적 노력을 계속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과 납치 문제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28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이날 북한 관련 강제실종 보고서를 발표한 데 대한 VOA의 논평 요청에 “미국은 강제실종된 개인의 행방에 대한 정보를 찾고 자의적 구금을 당한 사람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는 등 북한의 인권을 증진하기 위해 동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인권기구가 북한의 강제실종 범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새 보고서를 발간하고 문제 해결과 재발 방지를 촉구했습니다. 피해 당사자와 가족들은 생이별의 고통과 절망감을 눈물로 호소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