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과 타이완 등 제3국 중고 선박이 북한에 매각된 정황이 포착된 가운데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은 한국 정부와 관련 사안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만간 공개될 전문가패널 보고서에 이런 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권고 사안을 담았다고 확인했습니다.
북한이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습니다. 최근 5일 간 3차례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는데, 미한 연합훈련과 미국 부통령의 방한을 겨냥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한국 방문에 앞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미국 백악관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면서 해리스 부통령의 한국 방문 일정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조명수)
북중 화물열차 운행이 최근 재개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양국 간 트럭 등 차량 운행은 여전히 뜸한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활발했던 교역의 상징인 트럭 운행이 막힌 상태에서 북중 무역 정상화까진 여전히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곳곳에서 대규모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로켓에 연료를 채울 수 있는 저장고가 확대되고, 용도를 알 수 없는 대형 터널이 등장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장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활발한 움직임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연료 저장 시설을 확대하고 대형 터널을 뚫는 듯한 작업이 한창입니다.
싱가포르 수사당국이 북한 관련 불법 유류 환적에 가담한 3명의 남성을 기소했습니다. 북한에 유류를 건넨 사실을 숨기기 위해 증거를 인멸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북한이 최근 컨테이너 화물선을 구매한 정황이 또다시 포착됐습니다. 북한의 선박 구매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지만 최근 몇 년간 위장회사를 동원한 이런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국무부는 북한의 어떤 도발도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확고한 방어 의지를 꺾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중국의 타이완 침공 시 한국의 역할과 관련해서는, 타이완과 한국 모두 미국과 가치를 공유한다고만 언급했습니다.
북한이 최근 타이완 회사 소유의 중고 컨테이너 화물선을 구입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북한의 선박 구매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지만, 위장회사를 동원한 이런 행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무부는 미국의 ‘적대시 정책’을 비난하며 핵 보유 정당성을 주장한 북한의 유엔총회 연설에 대해 북한과의 조건 없는 대화를 모색해 왔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미한 연합훈련에 대한 비난에는 순전히 방어적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북한 신의주와 중국 단둥을 오가는 북중 화물열차가 150일 만에 운행을 재개했습니다. 북한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완화가 계기가 됐다는 관측이지만 운행 규모나 지속 여부에 대해선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타이완을 공격하면 북한도 도발할 가능성이 높다며 강력한 미한 동맹으로 대응하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사회적·법적 시스템을 받아들이는 것이 한국 국익에 최선이라는 입장도 확인했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25일 북한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을 언급하는 대신 자유와 국제사회 연대를 강조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23일 VOA 한국어 서비스의 ‘워싱턴 톡’에 출연한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이 유엔 무대에서 한국의 역할을 부각하고 한일 관계 개선을 모색한 점을 성과로 꼽았습니다.
미국 상원의원들이 오는 25일 개최되는 ‘북한자유주간’에 앞서 북한 주민들을 위한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김정은 정권은 주민들의 기본적 권리를 계속 박탈하고 있으며, 의회에서 북한인들의 존엄성과 권리를 강화하는 데 계속 전념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북한이 한국 측 시설에 대한 추가 해체에 나선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한국관광공사가 거액을 투자한 문화회관 건물의 지붕이 모두 뜯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일대 한국 소유 자산이 하나씩 사라지는 양상입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정호)
러시아의 침공으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자신의 유엔총회 화상 연설을 반대한 북한 등 7개 나라를 강력 규탄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북한과 대화 의지를 보인 일본 정부의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북한이 한국 측 시설에 대한 추가 해체에 나선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한국관광공사가 거액을 투자한 문화회관 건물의 지붕이 모두 뜯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일대 한국 소유 자산이 하나씩 사라지는 양상입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한 등 7개 나라를 강력히 비난했습니다. 100여 개 나라가 자신의 유엔총회 화상 연설에 찬성했는데 북한 등은 반대표를 던지며 국제사회와 뜻을 같이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