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키언 전 육군 참모차장 “북·중·러·이란 연대, 글로벌 전쟁 위험 초래”


잭 키언 전 미국 육군 참모차장. (자료사진)
잭 키언 전 미국 육군 참모차장.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측근으로 알려진 잭 키언 전 미 육군 참모차장이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간 연대가 글로벌 전쟁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한일 3국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키언 전 육군 참모차장 “북·중·러·이란 연대, 글로벌 전쟁 위험 초래”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02:50 0:00

잭 키언 전 미 육군 참모차장은 12일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은 각각 미국의 이익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키언 전 참모차장] "China and Russia’s no limit partnership has only deepened and broadened to include a military and economic partnership with Iran and North Korea. Each of which represents its own significant threats to U.S. interests. The new axis of nations opposed to U.S. interests create a real risk, if not a likelihood, that conflict anywhere could become a multi theater or global war."

키언 전 참모차장은 이날 하원 군사위원회가 전 세계 안보 환경을 점검하기 위해 개최한 새 회기 첫 청문회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제한 없는 파트너십은 이란, 북한과의 군사 및 경제 파트너십으로 더욱 심화되고 확대됐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실제적인 위험 초래”

그러면서 미국의 이익에 반대하는 이들 국가의 새로운 축은 충돌이 “다중 전선” 또는 “글로벌 전쟁”으로 번질 수 있는 실제적인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미 육군 참모차장을 지낸 키언 전 참모차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트럼프 1기 행정부 국방장관 후보로 거론됐던 인사입니다.

키언 전 참모차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승리하면, 중국, 이란, 북한 역시 “더 공격적으로 변할 것”이라며 이는 미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이후 나타난 이 네 나라들의 행동 패턴과 유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키언 전 참모차장] “If Russia wins in Ukraine so does China, Iran and North Korea, who will be emboldened to become more aggressive at the expense of the United States much as these 4 powers did after the Afghanistan withdrawal… The next National Defense Strategy and the subsequent NDS must address the strategy and resources to effectively deter these adversaries with the primary focus on China...We must rebuild the military…We need to restore deterrence by increasing defense funding.”

이어 차기 국가방위전략(NDS)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이들 적국을 효과적으로 억지하기 위한 전략과 자원을 적절히 배치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방 예산을 증대시키고 군을 재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일 협력 긍정적”

키언 전 참모차장은 또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일군 미한일 3국 협력은 “모든 의미에서 역사적”이라며 한국과 일본이 공동의 적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하는 모습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키언 전 참모차장] "The trilateral arrangement that the Biden administration sawed with themselves, with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outh Korea, I think, is historic in every sense of the word. You know, that South Korea and Japan coming together because of a common enemy... Obviously, South Korea does have challenges in terms of its present government internally, but their commitment that they have made to return to robust training with the United States, and also recognizing how Kim Jong UN has changed any thought of reunifying nation with South Korea and is claiming the peninsula, in terms of their own sovereignty and aligning with the other three countries, in terms of the peninsula being their sphere of influence, is a fundamental change."

이어 한국은 현재 정부 내적으로 “도전 과제”가 있지만 미국과의 강력한 군사 훈련 재개를 약속했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특히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한반도 주권을 주장하고 중국, 러시아, 이란과 연대해 한반도를 자신들의 영향권으로 삼고 있다는 점을 한국이 인식한 것은 “근본적인 변화”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바이든 행정부에서 2022년까지 국방부 전략·계획·역량 담당 차관보를 지낸 마라 칼린 전 차관보는 미국이 중국의 위협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면서도, 다른 주요 위협들인 러시아, 북한, 이란,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 역시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칼린 전 차관보] “Put simply, the United States cannot do it all nor is it some middling power who can only focus on one issue.”

칼린 전 차관보는 이날 청문회에 제출한 서면보고에서 “미국은 한 가지 문제에만 집중할 수 없다”며 “다른 위협에 대한 대응을 균형 있게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

Forum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