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한국과 최근 개최한 ‘미한 청정에너지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탈탄소화에 있어 민간 기업들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중국 단둥 세관 야적장에서 최근 화물 트럭과 컨테이너로 추정되는 물체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육로를 통한 북중 무역이 재개된 것이라는 추정이 나옵니다.
바이든 행정부 들어 한국의 대미 투자가 크게 늘었다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양국 관계가 동등한 파트너로 격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합니다.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 간 화물 트럭 운행이 재개됐다고 한국 연합뉴스가 17일 보도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경제공동위원회를 열고 무역과 과학기술 등 협력 방안에 합의했습니다. 북러간 이번 회의는 불법적인 군사 협력에 대한 국제사회 비난을 희석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15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중심의 국제 연결망 강화를 촉구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 간 ‘10차 북러 경제공동위원회’ 부문별 회담이 평양에서 진행 중이라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이 오늘(15일) 보도했습니다.
스웨덴 당국이 약 50년째 볼보로부터 수입한 자동차 대금을 갚지 않고 있는 북한과 정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5천 500만 달러였던 북한의 부채는 2억 5천만 달러로 늘었습니다.
한반도 주요 뉴스의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는 ‘쉬운 뉴스 흥미로운 소식: 뉴스 동서남북’ 입니다. 요즘 북한의 신문과 방송을 보면 연일 가을걷이와 함께 결산 분배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 농민들은 결산 분배에 불만이 많다고 하는데요.
유엔이 또다시 북한을 외부 식량 지원이 필요한 국가로 꼽았습니다. 17년 연속 북한의 식량 안보 상황이 불안하다는 평가입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정상회담 후속 작업으로 이달 중 경제공동위원회를 열고 경제협력 방안들을 구체화할 전망입니다. 러시아에 대한 북한의 포탄 공급 규모가 수억 달러어치에 이른다는 추산이 나오면서 극심한 어려움에 처한 북한 경제에 미칠 영향이 주목됩니다.
미 국제개발처(USAID)가 개발과 인도지원 정책 관련 사상 첫 미한일 회의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련 협력의 제도화에 대한 기대도 피력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