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국경 봉쇄 장기화로 대북 지원 사업의 기반이 무너졌다고 대북지원 단체들이 말했습니다. 북한의 인도적 상황이 유엔 제재보다는 당국의 정치적 결정과 관련이 있다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한미경제연구소(KEI) 차기 소장으로 스콧 스나이더 미 외교협회 미한정책국장을 발탁했습니다. 스나이더 차기 소장은 KEI의 인사 발표 직후 VOA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임기 동안 미한 경제안보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예산 지원을 하는 한국 정부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KEI가 미국 정부에 특정 사안에 대해 로비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올해 3분기까지 북한의 대중국 쌀 수입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북한의 식량난으로 연간 수입액도 사상 최대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지난달 중국에서 가장 많이 수입한 품목은 머리카락이고 가장 많이 수출한 품목은 가발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으로부터의 밀가루 수입량과 수입금액도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내내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북한 곡물가격이 최근 들어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올 작황이 예년 수준을 회복하면서 추수된 곡물들이 시장에 나온 때문이지만 식량난을 해소할 수준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미국 법무부가 북한 정보기술(IT) 노동자들이 미국 등 해외기업에 위장 취업하기 위해 사용한 인터넷 웹사이트를 압류 압류했습니다. 이들이 신분을 속이고 취업해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 자금을 버는 등 제재를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달 북한과 중국의 교역액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이후 3년 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본격화 이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반토막 수준입니다.
미국과 한국 당국이 신분과 국적을 숨기고 취업하는 등 북한 IT 인력의 활동 행태를 분석하고 주의를 강화하는 합동주의보를 공동으로 발표했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최근 미국 상원의원 대표단과 만나 첨단기술 분야에서 한국과 뉴욕의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고 상원 민주당 대표가 밝혔습니다. 뉴욕주지사는 한국과의 첨단기술 분야 협력 강화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유엔이 북한의 신종 코로나 조치로 인해 대북 지원이 불가능한 데 대해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북한은 자국에 인권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유엔 안보리가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의 대북 인도지원 물품에 대한 제재 면제를 승인했습니다. 자연재해와 비상사태 대응에 필요한 자동차 부품들이 대상입니다.
한국 정부가 민간단체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 사업에 대한 남북협력기금 지원 규모를 축소하고 지원 조건도 까다롭게 관련 규정의 개정을 추진합니다. 지원 사업의 투명성 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북한의 핵 위협 고도화에 따른 남북한 대치 상황이 영향을 줬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