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독자적으로 핵잠수함을 건조할 역량이 없다고 진단했습니다. 특히 러시아가 북한에 관련 기술을 지원해도 기술적 난제는 여전히 산적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샘 탕그레디 미국 해군참모대학 미래전 연구소장은 12일 VOA에 “북한은 독자적으로 핵잠수함을 건조할 능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미 해군 예비역 대령으로 잠수함 전략 등을 연구하는 탕그레디 소장은 “핵잠수함을 만들려면 핵추진에 필요한 재료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상당한 공급망과 인프라가 필요하다”면서 “중국도 이를 배우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고 지적했습니다.
[탕그레디 소장] “Left to itself, North Korea does not have the capacity to produce a nuclear submarine. That requires a substantial supply chain and infrastructure to acquire the materials and knowledge of nuclear propulsion. It took the PRC a considerable length of time to learn.”
북한 대외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8일 북한이 핵잠수함을 건조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요 조선소들의 함선 건조사업을 현지 시찰했다면서 “핵동력 전략 유도탄 잠수함 건조 실태도 현지에서 료해했다”고 전했습니다.
“핵잠수함 원자로 설계는 극히 어려운 기술”
탕그레디 소장은 “문제는 원자로”라면서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국가들조차도 잠수함에 맞는 원자로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군사 전문가인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날 VOA와의 전화 통화에서 “잠수함의 원자로는 고도의 기술”이라며 “러시아의 상당한 도움 없이는 잠수함 원자로를 만들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베넷 선임연구원] “The key question for North Korea in this case is a submarine's nuclear reactor is a very advanced technology. I don't think they're going to be able to put together a submarine's nuclear reactor without substantial Russian help.”
베넷 선임연구원은 미 해군의 차세대 전략핵잠수함(SSBN) 콜롬비아호를 예로 들어 “우리는 이미 핵잠수함을 건조한 경험이 있고, 원자로를 잠수함에 맞게 만드는 방법도 알고 있지만, 콜롬비아호를 건조하는 데는 계획대로라면 8~9년이 걸릴 것”이라며 “북한은 그런 경험과 기술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잠수함 미사일 발사, 육지 발사보다 훨씬 더 어려워”
탕그레디 소장은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잠수함을 건조하는 것은 많은 테스트를 통해 가능하다”면서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은 육지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런 잠수함을 만들려면 “미사일뿐 아니라 다양한 기술이 서로 연계되고 지원돼야 한다”면서 “북한이 이를 마스터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많은 시험과 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베넷 선임연구원은 전략핵잠수함을 건조하는 것은 여러 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우선 잠수함을 건조하고, 적의 탐지를 피해 생존하려면 소음을 줄여야 하며, SLBM을 개발하고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험을 거쳐야 할 뿐 아니라, 핵탄두와 대기권 재진입체를 개발해야 하는데 북한은 아직 이 많은 작업을 시험해 본 적이 없다는 지적입니다.
[녹취: 베넷 선임연구원] “You've got multiple tasks that you've got to go through. You've got to build the submarine you've got to make it quiet or it won't survive. You've got to develop the SLBMs and test them and make sure they work.
You've got to develop the nuclear warheads and the re-entry vehicles to make sure they can come back through the atmosphere. And a lot of those tasks North Korea hasn't even experimented with.”
독일의 미사일 전문가인 로버트 슈무커 박사는 이날 VOA에 “북한의 미사일 역량은 매우 제한적”이라며 “특히 직경이 1m를 초과하는 고체연료 추진 미사일의 경우엔 더욱 그렇다”고 말했습니다.
또 “지난 몇 년간 북한의 시험 횟수를 보면 시험은 단발적으로 이뤄졌다”면서 북한의 미사일 기술은 중국 등 외부의 지원이나 도움을 받은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슈무커 박사] “North Koreas missile capabilities are very limited. This hold especially for solid propellant missiles with a diameter greater than 1 m. (중략) Thus, these missiles are proliferated from outside, probably the PR China, as some of the technical details show.”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역량에 대해서는 SLBM 역량을 갖춘 잠수함을 건조하려면 “미사일 외에도 미사일을 발사할 장비와 발사 시스템을 설치해야 한다”면서 “지금까지 북한은 러시아가 자국의 SLBM에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바지선을 사용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핵잠수함 기술 이전 가능성”
미 해군에서 30년간 복무하며 잠수함장과 주일미군 작전참모 등을 역임한 브래들리 마틴 랜드연구소 수석정책연구원 겸 국가안보 공급망 연구소장은 이날VOA와의 전화 통화에서 “문제는 잠수함 추진력이 핵추진력이란 점인데, 북한이 자체적으로 그런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면서 “러시아는 수십 년간 핵잠수함을 운용해 왔기 때문에 아마 상대적으로 쉽게 역량을 이전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러가 핵잠수함 개발에 어느 정도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1~2년 안에 상당히 빠른 속도로 무언가가 이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일상적으로 운용되며, 특히 다른 이들에게 위협이 될 정도로 성공적으로 운용될 것이란 보장은 없다”면서 북한이 실제로 핵잠수함을 운용∙유지하기까지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녹취: 마틴 소장] “It would appear that the DPRK and Russia are collaborating to a degree on developing this capability and with that collaboration certainly something could be delivered fairly, fairly quickly within a year, two years. But it is again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that's going to be operated routinely and that successfully in a way that is particularly threatening to anybody else.”
“러시아 기술 지원만이 유일한 방법”
태평양사령관을 역임한 해리 해리스 전 주한미국 대사는 이날 VOA에 “북한은 외부의 지원 없이 핵잠수함을 건조할 역량이 없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북한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를 지원한 대가로 러시아의 도움을 얻을 수 있겠지만, 이는 추측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마이클 오핸런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도 “북한이 러시아의 전폭적인 지원 없이 핵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탕그레디 소장은 “북한이 핵잠수함을 만들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러시아가 원자로와 전력시스템을 제공하는 직접적인 러시아 지원을 받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이 러시아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만들려고 시도할 가능성도 있지만, 그 기술적 난이도는 매우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북 잠수함, ‘게임 체인저’ 되지 못해”
전문가들은 북한이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핵잠수함을 건조하더라도 미국은 이를 충분히 탐지∙격침시킬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베넷 선임연구원은 북한 핵잠수함의 위협과 관련해 “모든 것은 잠수함의 질에 달려 있다”면서 “북한의 로미오급 잠수함은 소음이 심해서 탐지가 매우 쉽기 때문에 그들 중 하나가 바다에서 뭔가를 하려 한다면 미국은 그것을 추적하고 필요하다면 침몰시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베넷 선임연구원] “All of that turns upon the quality of the submarines. Remember that the North Korean Romeo class submarines, they're very noisy and so detecting them is pretty easy. If one of those tries to go to sea and do something, the US is going to be able to intercept it trail and if necessary sink it.”
미 국방장관실 대량살상무기(WMD) 특별 고문을 역임한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재단 전략억제 선임연구원은 이날 VOA와의 전화 통화에서 “잠수함에 관한 북한 주장 중 상당수가 꽤 의심스럽다”면서 “지금까지 우리가 본 모든 것은 기본적으로 구식 소련∙러시아 장비를 재활용한 것이며, 북한이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임무를 수행하거나 항구를 멀리 벗어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고 말했습니다.
피터스 선임연구원은 “미국의 대잠수함전 역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분쟁이 시작하자마자 몇 시간 내에 북한의 잠수함들을 침몰시킬 수 있다”면서 “그 잠수함들은 전쟁 첫날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피터스 선임연구원] “Our American anti submarine warfare capabilities are so high that we have the ability to sink them in the opening hours of the conflict. I mean, those things aren't going to survive past day one in a war.”
이어 러시아가 북한의 우크라이나전 지원 대가로 기술적 지원을 해 줄 가능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아주 기초적인 역량을 갖춘 잠수함을 건조할 수는 있겠지만, 북한 잠수함은 소음이 정말 크기 때문에 아주 빨리 파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설사 SSBN을 건조한다 해도 전력의 판도를 바꿀 만한 ‘게임 체인저’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거듭 말하지만 북한이 성공할 것 같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마틴 소장은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 역량은 심각한 위협이지만, 전반적으로 북한의 잠수함을 추적하고 무력화하는 우리의 역량은 매우 뛰어나다”면서 “우려할 수는 있지만, 반드시 큰 위협이 되지는 않을 것이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마틴 소장] “Those are significant threats but overall, our ability to track and neutralize the type of submarine that North Korea, the DPRK would be launching is very good and although we would view it with concern, it wouldn't necessarily be a major threat. It's something that we could effectively deal with if we had to.”
그러면서 북한의 잠수함이 미국으로 향하고 있다면, 매우 효과적으로 추적되고 무력화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VOA 뉴스 안준호입니다.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