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미국과 한국의 핵억제 핵작전 지침에 관한 북한의 비난을 일축하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화를 거부하고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계속하는 것은 북한이라며 북한의 주장은 완전한 기만이라고 말했습니다.
북러 무기거래 현장으로 알려진 북한 라진항 부두에서 대형 화물 컨테이너를 옮기는 대형 선박 2척이 포착됐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를 비롯한 각국 정상들이 북러 무기거래 문제를 논의한 시각, 라진항에선 무기거래로 의심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북한자유주간을 맞아 미국 하원의원들이 주민들의 자유를 억압하고 학대하는 북한 정권을 규탄했습니다. 의원들은 국민의 인권을 유린하는 북한 정권은 심판을 받을 것이라면서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북한의 끔찍한 인권 침해 실태를 널리 알려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이도원 / 영상편집: 김정호)
미국 백악관이 한국을 포함한 나토의 인도 태평양 파트너 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지원 등을 통해 전 세계 안보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나토와 인도 태평양 파트너들의 협력 강화는 러시아∙중국∙북한의 위협을 억제하고 역내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미국 하원의원들이 자국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학대하는 북한 정권을 비판했습니다.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북한의 끔찍한 인권 침해 실태를 널리 알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이번 나토 정상회의와 관련해서 미국 내 전문가들은 한국을 포함한 IP4 인도태평양 4개국과 나토 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과거에는 북대서양과 인도 태평양 지역 안보가 별개로 여겨졌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커졌다면서, 이런 협력은 갈수록 위협을 높이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 북한 등에 대한 억제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중국이 미국과 일본의 군사 협력 확대 및 현대화에 대해 역내와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하며 반발했습니다. 한국의 자체 핵무장에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미국의 북 핵 수석대표인 정 박 대북고위관리가 최근 사임했다고 국무부가 밝혔습니다. 앞으로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가 대북 정책을 총괄하며 한국, 일본 등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전문가들은 한국을 포함한 인도 태평양 4개국과 나토 간의 협력은 중국과 러시아, 북한 등에 대한 억제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과거엔 북대서양과 인도 태평양 지역 안보가 별개로 여겨졌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이 일본에 배치된 전투기를 5세대 최신형 전투기로 교체한다는 현대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미일동맹과 역내 억지력 강화를 강조했는데, 즉각적 위협인 북한과 장기적 위협인 중국을 모두 겨냥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미국 정부가 북한과 러시아 협력의 정당성을 주장한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의 최근 발언을 일축했습니다. 또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됐다는 증거 분석을 상세히 전하면서 북한과 러시아에 책임을 묻겠다고 거듭 경고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미국이 일본에 배치된 전투기를 5세대 최신형 전투기로 교체한다는 현대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미일 동맹과 역내 억지력 강화를 내세웠는데, 즉각적 위협인 북한과 장기적 위협인 중국을 모두 겨냥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북한은 최근 잇따라 발사한 미사일들을 초대형 탄두 미사일이나 다탄두 미사일이라면서 성공했다고 주장했지만, 미국 내 전문가들은 실패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북한은 아직 관련 역량을 보유하지 못한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잇단 실험 실패 속에서도 많은 것을 배웠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 개발에 매진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미국 고위 관리가 북한과 러시아 간의 군사 협력은 유엔 헌장과 제재 위반이라며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대서양과 인도 태평양 지역 안보는 불가분의 관계라면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미사일 전문가들은 북한이 아직 초대형 탄두 미사일이나 다탄두 미사일 역량을 보유하지 못한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잇단 실험 실패 속에서도 많은 것을 배웠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 개발에 매진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최근 러시아가 북한과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는 러시아의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미국의 목표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란 점도 재확인했습니다.
미 국무부는 최근 한국과 체결한 ‘미한 외교정보 협력 양해각서(MOU)’가 양국 간 정보 협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과 러시아의 상호 방위조약 체결과 관련해 미국 내 전문가들은 미한동맹의 확장 억제력을 강화하면서 강력한 준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미한동맹은 훨씬 더 강력하기 때문에 과잉 대응할 필요는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김선명)
미국 육군 고위 당국자가 한국과 무인기와 전투 로봇 분야에서 미래 협력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한 양국 군대가 이미 깊이 통합돼 있는 것처럼 양국 방위산업도 통합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러시아 외무부의 차관이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조약은 한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미국 내 전문가들은 이같은 주장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기만적인 의도라고 지적하고, 북러 조약은 한국과 한국 국민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밝혔습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조명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