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 EU가 제52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북한의 심각한 인권 상황을 규탄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다시 제출했습니다. 북한 정부가 주민들의 복지를 위해 써야 할 국가 재원을 핵·미사일 개발에 전용하고 있다고 규탄했는데, 올해도 결의안이 채택되면 2008년부터 16년 연속 채택입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도)
제52차 유엔 인권이사회가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가운데 국제 시민사회단체들도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 주민들이 스스로를 대변할 수 없는 만큼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 범죄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유럽연합(EU)이 제52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북한의 심각한 인권 상황을 규탄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다시 제출했습니다. 북한 정부가 주민들의 복지를 위해 써야 할 국가 재원을 핵·미사일 개발에 전용하고 있다고 규탄했습니다.
유엔 인권기구가 북한의 인권 범죄에 대한 책임규명을 촉구하며 피해자인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 주민들의 기본권 침해를 주도하는 3대 악법 중 하나인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전문이 유엔 인권이사회 부대행사에서 전격 공개됐습니다. 한국 정부와 세계 시민사회단체들은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COI 설립 10주년을 맞아 이 같은 기념행사를 열고 국제사회가 책임규명 노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이상훈)
북한 주민들에 대한 사상통제를 대폭 강화한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전문이 세계 인권의 심장부인 제네바에서 공개됐습니다. 정부와 세계 시민사회단체들은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설립 10주년을 맞아 제네바에서 다양한 기념행사를 열고 국제사회가 책임규명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유엔 인권이사회가 특별보고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북한의 인권침해 문제들을 정면으로 다뤘습니다.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한국 등 유엔 회원국들이 북한 내 심각한 인권 침해 가해자들에 대한 ICC 국제형사재판소 기소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편집: 이상훈)
한국 등 유엔 회원국들이 북한의 인권 침해 가해자들에 대한 기소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고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권고했습니다. 탈북민 강제북송이 중단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지만 중국은 또다시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유엔 안보리에서 열린 북한 인권 관련 비공식 회의에서 미국은 북한의 인권과 대량상살무기 문제는 직결돼 있다며 이를 함께 제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북한 주민들의 영양 등 삶보다 탄약과 미사일을 선택해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중국은 이런 논의가 오히려 갈등을 심화시킨다고 주장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상취재: 김선명 / 영상편집: 김정규)
미국이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 인권과 대량상살무기 문제가 직결돼 있다며 이를 함께 제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민들의 영양 대신 탄약을, 사람보다는 미사일을 선택했다고 비판했습니다.
탈북민들이 이례적으로 유엔 안보리 북한인권 비공식 회의에서 북한의 실상에 관해 증언하며 북한에서는 김정은만 자유를 누리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북한인권 개선이 장기적으로 중국에도 도움이라는 지적도 나와 관심을 끌었습니다.
북한의 인권침해와 대량살상무기 위협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미국 고위당국자가 지적했습니다. 극도의 빈곤을 겪는 자국민에 돌아가야 할 재원을 무기 개발에 전용한다며, 17일로 예정된 유엔 안보리 북한인권 회의에서 이 문제를 집중 조명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에서 북한 여성 인권 실태를 조명하는 행사가 잇따라 열리고 있습니다. 한국 당국자들이 직접 참여해 탈북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인권 개선을 북한 문제의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며 전임 정부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오는 17일 북한인권 회의를 ‘비공식적’으로 개최하는 것은 일부 회원국의 공식회의 재개 반대 주장을 우회하기 위해서라고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가 밝혔습니다. 황 대사는 15일 VOA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북한인권을 유엔 안보리 공식 의제에서 빼려는 세력이 있다면서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북한의 핵 개발과 인권 유린을 동전의 양면처럼 다뤄야 한다며 ‘동시 해결’노력과 전 세계적 공감대가 필요하다고도 말했습니다.
북한에서 여성은 김정은 정권의 선전도구에 불과하다고 캐나다 외교부 산하 연구기관이 지적했습니다. 북한 여성들의 한국식 화장과 머리 모양을 억압적 체제에 대한 간접적 저항으로 풀이했습니다.
탈북 여성들이 워싱턴을 방문해 북한 구금시설에서 겪은 끔찍한 인권 유린 실태를 털어놨습니다. 북한 당국이 강제 북송된 주민을 얼마나 잔혹하게 다루는지 생생히 묘사했습니다. 국경봉쇄 지침을 어기고 탈북한 이들은 송환 시 훨씬 가혹한 처벌에 직면한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국무부가 중국의 탈북민 강제북송에 우려를 나타내며 탈북민을 사지로 몰아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중국에 계속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탈북민을 난민으로 인정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국제인권단체가 여성에 대한 폭력을 방관하거나 자행하는 북한 정부에 책임을 추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의를 갈구해 온 북한 주민의 오랜 인내에 유엔이 실질적 조치로 화답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 애국가 음원은 1942년 VOA 방송이 송출한 것이라고 한국의 민간 단체가 밝혔습니다. 이 단체는 일제 강점기에 VOA가 한국인들에게 국제 정세를 전달해 독립 준비에 기여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미국의 확장억제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의구심 해소를 위해 아시아 판 핵기획그룹(NPG)을 창설할 필요가 있다고 윤병세 전 한국 외교장관이 말했습니다. 윤 전 장관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핵확산금지조약 체제 아래에서도 가능한 다양한 핵 옵션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윤 전 장관은 또한 오는 16일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계기로 다양한 분야에서 한일 교류 정상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