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제(13일) 교역국들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관련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면서 “공정(무역) 차원에서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어떤 나라에 대해서든 우리는 그들에게 그보다 더 많지도 적지도 않은 (관세) 부과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위한 국가별 관세 계산은 물론 다른 나라들이 미국 상품에 매기고 있는 부가가치세 등 이른바 ‘비관세 장벽’에 대해서도 대응 계획을 세울 것을 관련 부처에 지시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이 계획들이 4월 1일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며, 발효 시점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렸다고 말했다고 미 ‘CNN’ 방송은 전했습니다.
미국의 이같은 상호관세 부과 예고에 주요 교역국들은 대비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최상목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14일) 관련 부처 회의에서 “미국 측의 핵심 관심사항을 파악하고 관계 부처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우리의 취약점과 비관세 장벽 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도 기자들에게 “이미 미국 측과 소통을 개시했다”면서 “앞으로 발표될 조치들의 구체적 세부안과 그로 인한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적절히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해 중국과 유럽연합(EU), 멕시코에 이어 최대 규모의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했던 베트남 정부도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VOA 뉴스
*이 기사는 Reuters를 참조했습니다.
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