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구석구석 미국 이야기]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투명 마스크...코로나로 영상에 빠진 아이들


[구석구석 미국 이야기]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투명 마스크...코로나로 영상에 빠진 아이들
please wait

No media source currently available

0:00 0:10:00 0:00

미국 곳곳의 다양한 모습과 진솔한 미국인의 이야기를 전해드리는 구석구석 미국 이야기, 김현숙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시대, 마스크는 필수품이 됐습니다. 마스크만 제대로 써도 바이러스 확산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하죠. 하지만 귀가 들리지 않아 상대방의 표정이나 입 모양에 의존했던 청각 장애인들은 마스크를 씀으로써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됐는데요. 이들을 위한 특수 마스크가 주목받고 있다고 합니다.

메릴랜드대학교 앤 매킨토시 교수가 입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처리된 '투명 마스크'를 선보이고 있다.
메릴랜드대학교 앤 매킨토시 교수가 입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처리된 '투명 마스크'를 선보이고 있다.

“첫 번째 이야기,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투명 마스크”

미 동부 코넬대학교에서 미국 수화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브렌다 셔츠 씨는 처음 미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할 당시만 해도 마스크 때문에 이렇게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거라곤 생각지 못했다고 합니다.

태어나면서부터 청각장애인이자 농아인인 셔츠 씨는 사람들이 다들 마스크를 쓰면서 일상의 대화가 거의 불가능해졌다고 했는데요. 미국 내 4천800만 명에 달하는 청각장애인들이 자신과 비슷한 처지일 거라고 통역을 통해 말했습니다.

[녹취: 브렌다 셔츠]

대화는 꼭 언어로만 이뤄지는 게 아니라는 건데요. 표정이나 손짓 등도 대화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마스크를 씀으로써 수화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이 한순간에 막혀버렸다고 했습니다.

청각장애인들은 특히 약국이나 상점에 갈 때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는데요. 약사의 설명을 들어야 하는데 약사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녹취: 브렌다 셔츠]

셔츠 씨는 이런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했는데요. 만약 누군가 말로 하는 데 대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좀 더 창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인내심을 갖고 대화를 시도하라는 건데요. 왜 그 사람이 반응하지 못하는지를 생각해보라는 겁니다.

메릴랜드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앤 매킨토시 교수는 선천적으로 귀가 들리지 않는 장애인이자, 특수 마스크를 개발한 주인공이기도 합니다. 매킨토시 교수는 입 부분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처리해 사람의 입 모양이 보이는 투명 마스크를 개발했는데요. 이 마스크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첫 번째 투명 마스크라고 하네요.

매킨토시 교수는 이미 몇 년 전에 투명 마스크를 고안해 냈는데요. 긴급 제왕절개 수술을 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됐다고 했습니다.

[녹취: 앤 매킨토시]

수술실의 간호사와 의사, 마취과 의사 그리고 남편까지 수술복으로 중무장을 하고는, 얼굴에 마스크까지 하고 있었다는 건데요. 이들의 입술을 읽을 수 없다 보니 지시하는 말에도 전혀 따를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탄생한 투명 마스크는 입 부분에 자그마한 투명 창이 있어서 사람들의 입 모양을 읽을 수도 있고 표정이나 감정까지도 읽는 게 가능하다고 하네요.

매킨토시 교수는 그러니까 투명 마스크는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병원에서 꼭 필요한 용품이었다고 하는데요. 코로나 사태로 청각장애인들의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했습니다.

[녹취: 앤 매킨토시]

갓 태어난 아기들, 또는 태어난 지 몇 개월 안 된 아기들 가운데 사람의 미소를 한 번도 못 본 아이들이 있다는 겁니다. 모두가 마스크를 쓰고 생활하기 때문이라는 건데요. 이런 현상은 아기들이 다른 사람과의 유대감을 갖는 데 분명히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5%에 해당하는 4억6천600만 명이 청각장애를 갖고 있는데요. 코로나 사태로 모두가 얼굴을 가리고 있는 요즘, 투명 마스크는 이들에게 더없이 소중한 소통의 창이 되고 있습니다.

어린 아이가 집에서 태플릿으로 게임을 하고 있다.
어린 아이가 집에서 태플릿으로 게임을 하고 있다.

“두 번째 이야기, 코로나 사태로 영상에 빠진 아이들 ”

코로나 사태로 학교도, 놀이터도, 극장도, 놀이공원도 가지 못하게 된 아이들. 아이들의 부모들조차 집에서 일하는 재택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아이들의 유일한 오락거리는 바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즉 판형 컴퓨터 같은 전자기기가 됐습니다.

거기다 이제는 수업도 컴퓨터 온라인으로 하게 됐고, 여름방학에 열리는 여러 캠프도 온라인으로 진행하다 보니 아이들이 영상을 시청하는 시간은 계속 늘어만 가고 있다고 합니다.

[녹취: 달리아 하샤드]

‘페어런츠투게더(ParentsTogether)’라는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고 있는 달리아 하샤드 씨는 10살, 12살 두 자녀의 엄마인데요. 자신도 다른 많은 부모와 마찬가지로 부부가 재택근무를 하면서 코로나 사태를 이겨나가고 있고, 또 다른 부모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페어런츠투게더’를 운영하게 됐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부모는 자녀들이 자신의 방에서 컴퓨터를 들여다보고 있는 걸 안전하다고 여기고 있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페어런츠투게더가 3천여 명의 부모들을 상대로 여름 동안 자녀들의 영상 시청 시간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는데요.

[녹취: 달리아 하샤드]

응답자의 8%가 자녀들이 하루에 6시간 이상 영상을 시청하게 한다고 답했다며, 영상 시청 시간이 500% 증가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니까 하루 중 많은 시간을 컴퓨터나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들여다보는 지내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는 건데요. 지난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아이들의 영상 시청 시간과 관련한 권고안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아이들의 영상 시청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것을 권고하면서 신생아의 경우 영상 시간이 아예 없어야 한다고 권고했는데요. 하지만 실상은 이와 다르다고 합니다.

미국의 아기들은 하루 평균 40분을 전자 기기 앞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고요. 또 WHO는 2살~5살은 하루에 한 시간 이상 시청하지 말 것을 권고했지만, 실제로는 영상 시간이 권고안의 두 배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10대들의 경우 WHO가 시청 시간을 제한하지는 않았지만, 과도한 영상 시청은 우울증이나 불안감과 연관이 있다고 하네요.

미 동부 어썸션대학의 제임스 랭 교수는 디지털 기기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 중인데요. 5명의 자녀가 있는 부모이기도 한 랭 교수는 아직까지는 너무 염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녹취: 제임스 랭]

현재 상황이 코로나로 인한 일시적인 전환기라는 걸 부모가 인지하고 있다면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라는 겁니다. 코로나 사태가 안정되고 다시 외부 활동 등을 시작하는 등 열심히 노력한다면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건데요. 인간의 뇌는 ‘신경가소성’이라는 게 있어서 환경이 바뀜에 따라 재빨리 순응하는 능력이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 코로나 사태가 끝났을 때, 부모들은 자녀들의 영상 시간에 상당한 제한을 가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런데 달리아 하샤드 씨는 아이들이 영상을 시청하는 시간도 문제지만, 아이들이 보는 내용도 우려된다고 했습니다.

[녹취: 달리아 하샤드]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영상은 대부분 비교육적인 것들이라는 겁니다. 아이들이 제일 많이 보는 게 동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로 80%의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채널로 꼽았고, 영화 등을 보는 넷플릭스와 짤막한 영상 공유 앱인 틱톡이 그 뒤를 이었다고 하네요.

사실 부모들은 물론 과학자들도 처음 겪는 이 장기간의 봉쇄가 언제 풀릴지 모르는데요. 따라서 이런 상황으로 인한 디지털 사용이 아이들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도 아직은 확실하지 않다고 합니다.

네, ‘구석구석 미국 이야기’ 다음 주에는 미국의 또 다른 곳에 숨어 있는 이야기와 함께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함께 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