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중국 측 상대인 류샤오밍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첫 대화를 통해 북한 핵 문제를 논의했는데 중국은 이른바 ‘쌍궤병행’이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며 대화 요구에 북한이 건설적으로 응할 것을 촉구하고 있지만 북한은 여전히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경제난에 빠진 북한이 어떤 판단을 하고 있을지 또 중국은 어떤 역할이 가능할지 전문가들과 함께 분석해봅니다. 진행: 김영교 / 대담: 셀레스트 애링턴 (Celeste Arrington, 조지워싱턴대 교수) , 스캇 스나이더 (Scott Snyder, 미국 외교협회 미한정책 국장)
전체 에피소드
-
2025년 2월 22일
[워싱턴 톡] “중국 핵전력 증강, 한국 국익에 치명적…미국, 전술핵 재배치 고려할 때”
-
2025년 2월 15일
[워싱턴 톡] “한국, 중국의 최근접 표적∙∙∙미한·한일 갈등 조장이 전략 목표”
-
2025년 2월 8일
[워싱턴 톡] “한국, 중국 영향력 확장의 최전선…굴복하면 이용당할 뿐”
-
2025년 1월 25일
[워싱턴 톡] “트럼프 2기, 미한동맹 새 국면…‘대중국 전략’ 조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