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은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최근 미국과 한국을 위협하는 담화를 발표한 데 대해 어느 누구도 긴장을 악화시켜선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을 특정하지 않은 채 모든 당사국을 향해 한반도 안정을 해치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파르한 하크 유엔 사무총장 부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김여정 부부장이 미국과 한국에 ‘신속하고 압도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한 논평 요청에 “우리는 모든 당사국들이 한반도의 긴장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떤 수사도 피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하크 부대변인] “We want everyone to avoid any rhetoric that could exacerbate tensions on the Peninsula. Ultimately, for us we want to make sure that the parties return to dialogue and find a way to achieve the peaceful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 want them to avoid anything that would be unhelpful toward that end.”
이어 “궁극적으로 당사국들이 대화에 복귀하고 한반도의 평화적 비핵화 달성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길 바란다”며 “우리는 당사국이 그 목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어떤 것이라도 피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유엔이 미한 연합군사훈련의 중단을 바란다는 뜻이냐’는 추가 질문에도 “이 시점에 기본적으로 누구든 도발적인 수사를 피하길 바라는 게 우리의 생각”이라고 답했습니다.
[녹취: 하크 부대변인] “At this point, basically the idea is we want anyone to avoid provocative rhetoric. If there are any actions that seem to be escalating tension, we want people to think over what can be done to deescalate. Because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tense enough and we want it to be considerably calmer.”
이어 “긴장을 고조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행동이 있다면, 우리는 사람들이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길 바란다”며 “한반도 상황이 충분히 긴장 상태였고 우리는 그것이 상당히 진정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라고 하크 부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앞서 김여정 부부장은 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에서 미국과 한국 군의 군사적 동태를 빠짐없이 주시하고 있다며 “판단에 따라 언제든지 적중하고 신속하며 압도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상시적 준비태세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