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북한, 미국의 북-러  무기 거래설 비난 연쇄 담화…대미 대결 국면 속 러와의 밀착 강화


지난 2019년 4월 북러정상회담이 열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역에 양국 국기가 걸려있다.
지난 2019년 4월 북러정상회담이 열린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역에 양국 국기가 걸려있다.

북한은 미국이 북러 무기거래설을 폭로하고 우크라이나에 전차 지원 계획을 밝힌 데 대해 고위급 차원의 잇단 비난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러시아와의 무기거래가 기정사실화 되는 데 대한 맞대응과 함께 미국과의 대결 국면에서 러시아를 확실한 우군으로 만들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서울에서 김환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27일 대외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낸 담화에서 미국의 우크라이나 전차 지원 계획을 강력 규탄하면서 러시아 군대와 인민과 언제나 한 전호 즉 참호에 서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부부장은 미국이 러시아를 파멸시키기 위한 대리전쟁을 확대해 패권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흉심에 따른 것이라고 맹비난하기도 했습니다.

김 부부장 담화 이틀 뒤인 29일엔 권정근 외무성 미국 담당국장이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권 국장의 담화 또한 미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차 지원에 대한 규탄을 담았지만 미국 측이 최근 제시한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거래 증거에 대한 반박에도 초점을 맞췄습니다.

권 국장은 담화에서 미국이 북한을 상대로 “자작 낭설을 계속 퍼뜨린다”며 “정말로 재미없는 결과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앞서 지난 25일 연설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31대의 M1 에이브럼스 전차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을 보여주는 김 부부장의 담화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러시아에 대한 노골적 지지를 담고 있는 데 주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러시아와 한 참호에 서 있겠다’는 표현은 향후 러시아에 대한 군사 지원과 경제협력 등을 공식화할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조성렬 북한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입니다.

[녹취: 조성렬 교수] “그동안엔 러시아에 탄약을 제공하든 또 여러 가지 이제 우크라이나에서 독립을 선언한 도네츠크나 루한시크에 휴전이 되면 북한 건설노동자를 보내겠다 이런 얘기들이 계속 있었는데 지금 ‘한 참호’ 얘기하는 것은 이런 공개적으로 부인했던 부분에 대해서 이젠 노골적을 하겠다 이런 의사로도 볼 수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국제사회 비난의 대상이 된 러시아를 확실한 우군으로 만들기 위한 의도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위성락 전 러시아 주재 한국대사는 북한은 러시아를 자신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패권적 압살정책 피해자로 여기는 교조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런 상황인식과 함께 치열해지고 있는 미국과의 대결국면 속에서 러시아와 한층 밀착하려는 양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녹취: 위성락 전 대사] “우크라이나 전쟁이 나서 미러 대립이 극적으로 심화됐고 이것은 미중 대립과 맞물려서 결국 미국 서방 대 중러 대립이 됐어요. 이 구도 속에서 북한이 미국과 대결하고 도발을 계속하기 위해서 연대할 상대는 역시 중국과 러시아인데 현실적으로도 이게 필요해서 지금 적극적으로 러시아에 대해서 연대하는 입장을 밝히고 하는 거죠.”

김 부부장의 담화가 동북아에서 북중러 대 미한일 간 신냉전 구도가 본격화하는 신호탄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김 부부장이 이전에 내놓은 담화들이 북한과 직결된 문제를 둘러싼 미국이나 한국에 대한 비난 일변도였던 데 비해 이번 담화에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놓고 북한 최고위층의 진영 구도를 부각시킨 국제 정세 인식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 부부장은 담화에서 미국이 “서방나라들은 물론 특등 앞잡이들을 반러시아 전선에 동원하려고 한다”며 미국과 서방국가들의 우크라이나 지원을 비난했습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김정은 위원장도 지난 당 전원회의에서 신냉전 구도를 공식 언급했지만 이는 현실에 대한 객관적 평가라기 보다는 미국과의 대결구도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전략적 의도가 깔린 발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박 교수는 미국과 패권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은 경우에 따라서 미국과 과도한 경쟁을 자제하는 방향으로 갈 여지가 있다며, 다음달 초로 예정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을 주목했습니다.

박 교수는 김 부부장의 담화가 이런 유동적인 대외환경을 감안해 국제사회에서 수세에 몰린 러시아를 자기편으로 강하게 끌어당기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녹취: 박원곤 교수] “예를 들어서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했다, 그러면 유엔 안보리가 소집될 것 아닙니까. 거기서 추가 제재를 당연히 논의할 텐데 중국이 기권해버릴 수 있어요. 그런데 러시아가 반대를 해야죠. 그러니까 지금 러시아에 완전히 붙어서 보험을 들고 있다, 김여정까지 나서서 하고 있다는 거죠.”

권정근 국장의 담화에 대해선 미국이 제기한 북러 무기거래설이 기정사실화하는 데 대한 경계심이 크게 작용한 맞대응 차원이라는 관측입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20일 브리핑에서 북한이 러시아 민간 용병회사 바그너 그룹에 무기를 전달하는 정황을 포착한 위성사진들을 공개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20일 브리핑에서 북한이 러시아 민간 용병회사 바그너 그룹에 무기를 전달하는 정황을 포착한 위성사진들을 공개했다.

미 백악관은 지난 20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돕고 있는 민간용병회사, ‘바그너그룹’에 북한이 무기를 제공하고 있다며 위성사진 2장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임을출 교수는 권 국장의 담화가 미국이 제시한 증거에 대한 직접적인 반박은 들어있지 않다며, 미국 측의 우크라이나 전차 지원에 대해 비난을 하면서 자신을 정당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임을출 교수] “미국이 주도하는 공격용 무기의 우크라이나 지원이 결국 자신들의 러시아 지원을 정당화사키는 하나의 명분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이런 경고를 미리 하는 게 아닌가 하는 판단도 들어요.”

박원곤 교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국제사회와 미국 내 비난 여론이 비등한 가운데 북한이 러시아에 대한 무기 지원을 노골화하긴 향후 대미 협상 등을 고려할 때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박 교수는 북한이 앞으로도 ‘무기거래설’에 대해 적극 반박하면서은밀한 방식으로 러시아를 지원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VOA뉴스 김환용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