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가능 링크

탈북민, 파키스탄서 1인 시위 “김정은 미사일 발사 규탄, 주민 위해 재원 써야”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이 파키스탄 주재 북한대사관 앞에서 시위하고 있다. 사진=김주일 제공.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이 파키스탄 주재 북한대사관 앞에서 시위하고 있다. 사진=김주일 제공.

영국에서 활동하는 탈북민 인권운동가가 파키스탄 주재 북한대사관 앞에서 미사일 개발 비용을 주민들을 위해 쓰라며 1인 규탄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런 시위는 뉴욕의 주유엔 북한대표부와 일본 조총련 본부 앞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영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국에서 북한인권 운동가로 활동 중인 북한 출신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은 지난 17일 파키스탄 주재 북한대사관 앞에서 1인 시위를 했습니다.

김 총장은 19일 VOA에 북한 깃발이 걸린 대사관 건물 앞에서 영어로 “NO! KIM JONG UN, YES! NK HUMAN RIGHTS”란 팻말을 들고 시위를 했으며 파키스탄인들에게 북한의 인권 상황을 소개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정은의 무책임한 지도력을 남아시아인들에게 알리며 이를 규탄하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김주일 총장] “올해 발사한 미사일에 들어간 돈이면 북한 주민들의 46일 치 식량을 확보하고 굶주림을 모면할 수 있는 어마어마한 돈인데 그것을 김정은 자기 체제를 위해 엄청 낭비하고 있는 상황에 관해 저희가 규탄했습니다.”

김 총장은 또 북한 대사관 직원들이 김정은의 비자금 조성 등 상납금을 벌기 위해 주류를 판매하는 등 불법 활동을 지속하는 문제도 지적하고 이를 멈출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습니다.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이 파키스탄 주재 북한대사관 앞에서 시위하고 있다. 사진=김주일 제공.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이 파키스탄 주재 북한대사관 앞에서 시위하고 있다. 사진=김주일 제공.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는 앞서 보고서에서 해외 주재 북한 외교관들이 면책 특권을 이용해 여러 불법 활동에 관여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VOA와 ‘로이터’ 통신, 파키스탄 현지 언론들은 과거 파키스탄 주재 북한 외교관들이 불법 주류 판매와 의약품 매매, 불법 임대 활동 등으로 당국의 조사와 처벌을 받았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김주일 총장은 또 과거 북한에 핵무기 기술을 전수한 장본인이 파키스탄 핵과학자 압둘 카디르 칸 박사임을 강조하며 파키스탄 정부에 도의적 책임을 지고 북한의 비핵화에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파키스탄 공영방송 PTV가 이날 자신의 1인 시위를 취재했다며, “남아시아 지역 최초의 탈북민 시위를 통해 전 세계 곳곳에 정착한 탈북민들이 북한 주민들의 목소리를 더욱 대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김주일 총장] “북한 주민들이 평양의 김일성 주석궁이나 김정은이 집무를 하는 공관 앞에서 시위를 절대 할 수 없기 때문에 직접 메시지를 솔직히 전달하기는 힘듭니다. 그럼에도 저희는 북한의 문이 열리고 북한 주민들이 자유와 민주주의를 누리는 그날까지 규탄 시위를 계속 진행할 것입니다.”

탈북민들의 1인 시위는 미국과 뉴욕과 일본 도쿄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 중인 탈북민 정수반 씨는 올해 1월부터 매주 수요일마다 주유엔 북한 대표부 건물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정 씨는 앞서 VOA에 김정은 정권의 압제로 눈과 귀와 입을 자유롭게 열 수 없는 북한 주민들을 대신해 탈북민들이 목소리를 더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었습니다.

[녹취: 정태양 씨] “김정은 정권이 북한 주민들의 생명을 인질로 잡고 계속 핵 공갈을 하고 있는데, 저희가 볼 때는 마지막 발악입니다. 하루빨리 북한 주민들의 상황이 개선되길 바랍니다.”

또 일본의 친북 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본부 건물 앞에서도 탈북민의 1인 시위가 7년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1960년 홀로 북송선에 올라 북한에서 43년을 보낸 뒤 탈북해 일본에서 북한 인권 운동가로 활동 중인 가와사키 에이코 씨는 19일 VOA에 “초기에 산발적으로 하다가 2015년부터 조총련 앞에서 매달 시위하고 있고 조선대학 앞에서도 주요 행사 때마다 시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재일 한인 북송 피해자를 비롯해 “북한에 사는 가족 등 모든 주민이 김정은 정권으로부터 자유와 인권을 쟁취할 때까지 시위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10월 북한자유주간을 맞아 발표한 ‘북한 인권을 지지하며’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우리는 개탄스러운 학대에 시달리고, 스스로 변호할 수 없는 수백만 북한 주민들을 대신해 계속 목소리를 내는 탈북민과 인권 단체의 용기를 인지한다”며 이런 노력에 지지를 보낸 바 있습니다.

VOA 뉴스 김영권입니다.

XS
SM
MD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