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 파견돼 있는 북한 해외 노동자의 송환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지금까지 10여개 나라에서 2만6천여 명이 송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노동자들이 가장 많은 중국과 아프리카 나라들이 취할 조치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보리가 정한 북한 해외 노동자들에 대한 송환 시한은 오는 22일입니다.
앞으로 2주가량 남은 기간 동안 각 나라가 자국 내 북한 노동자를 모두 돌려보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미 재무부와 국무부 등은 지난해 7월 발표한 북한 관련 주의보에서, 2017년과 2018년 기준으로 북한 노동자들이 활동하는 나라를 41개로 지목한 바 있습니다.
이 중 북한 노동자를 송환한 나라의 숫자 등 자세한 정보는 파악이 불가능하지만, 일부 나라가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제출한 북한 노동자 관련 보고서를 통해 어느 정도 규모는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최근 북한 노동자 송환 소식이 알려진 나라는 네팔입니다.
네팔 당국은 최근 안보리에 제출한 2397호 중간 이행보고서에서 지난 10월31일자로 33명의 북한 국적자를 내보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불법 체류 중인 북한 국적자들은 이민법에 따라 처리할 계획이라고 명시해 추가 조치를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는 각각 2천여 명과 1천600명 규모의 북한 노동자들이 대부분 귀국했다고 보고서에서 밝혔고, 쿠웨이트(900명)와 독일(800명), 폴란드(400명) 등도 북한 노동자 송환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북한 노동자들을 돌려보낸 나라들 중에는 북한의 주요 우방국들도 포함돼 있습니다.
베트남은 51명을 송환한 데 이어 남아 있는 40여명에 대해서도 송환을 예고했고, 러시아는 전체 3만 명에 달하던 북한 노동자가 올해 3월 기준으로 약 1만 명으로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는 지금까지 가장 많은 북한 노동자를 송환한 나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현재까지 적어도 11개 나라가 북한 노동자 송환 사실을 알렸고, 그 숫자는 대략 2만6천 명에 이릅니다.
유엔에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어도, 현지 소식통 등을 통해서도 북한 노동자 송환 사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 문제에 정통한 소식통은 4일 VOA에, 아프리카 나라 상당수가 북한대사관 등에 이달 말까지 노동자들의 귀국을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아프리카에는 북한 건설회사들과 인력이 상주하며 외화를 벌어들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밖에 한국 `연합뉴스’는 캄보디아 정부가 자국 내 북한 식당 6곳을 모두 폐쇄했다고 보도하면서, 북한 식당들이 영업 중인 다른 나라들에서도 비슷한 조치가 있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북한 노동자 송환과 관련한 조짐이 전혀 없는 나라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나라가 아프리카 세네갈입니다.
최근 VOA는 북한 만수대창작사의 해외 법인이자 미국과 유엔의 제재 대상인 ‘만수대 해외프로젝트 그룹’이 ‘코르만 컨스트럭션’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버젓이 외화벌이를 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코르만 컨스트럭션’은 일부 회사들로부터 건설 계약이 끊긴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전히 현지에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게다가 추가로 10여 명의 건설인력이 투입되고, 북한 의사 30명이 외화벌이를 목적으로 세네갈에 유입되는 등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런 가운데 해외 전체 북한 노동자의 상당수가 집중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이 취할 조치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앞서 중국은 3월8일 북한 노동자 현황에 대한 중간보고서를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제출했지만, 보고서의 일반 공개를 거부해 정확한 내용이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 노동자들이 임시 방문비자 등을 발급받는 방식으로 중국 국경 도시에서 일하고 있다며, 여전히 많은 숫자가 중국에 체류 중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북한 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 미 조지타운대 교수는 북한 노동자 문제는 중국의 의지와 상관 없이 해결 자체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브라운 교수] “There are still plenty of Koreans working...”
미국이 불법 노동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처럼, 중국 역시 이 문제를 제대로 처리하기가 힘들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한편, 일부 언론들은 추이아이민 중국 외교부 영사국장과 이길호 북한 외무성 영사국장이 지난 3일 베이징에서 제13차 영사 협상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두 나라가 상호 인적 왕래 문제를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한 노동자 문제가 다뤄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보리가 북한의 해외 노동자 문제를 결의에 담기 시작한 건 2017년 8월부터입니다.
당시 채택된 결의 2371호는 각국이 북한 노동자의 숫자를 늘리지 못하도록 했는데, 한 달 뒤 채택된 결의 2375호는 기존 노동자의 허가증에 대한 갱신 금지 조치가 추가됐습니다.
안보리는 이어 같은 해 12월 결의 2397호를 통해 결의 채택 2년 뒤, 즉 올해 말까지 모든 나라가 북한 노동자들을 송환하도록 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
독자 제보: VOA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사화를 원하는 내용을 연락처와 함께 Koreanewsdesk@voanews.com 이메일로 보내주시면 뉴스 제작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제공하신 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제보자의 신분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