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미국인들의 인식이 2년 전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미국의 여론조사에서 나타났습니다. 반면,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조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미국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보는 미국인들이 줄었다고 미국의 여론조사기관인 퓨 리서치센터가 밝혔습니다.
퓨 리서치센터가 지난달 30일 발표한 ‘미국이 직면한 세계적 위협’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 핵 프로그램을 미국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보는 응답자는 전체의 53%로 집계됐습니다.
75%를 기록했던 2년 전보다 22%포인트 감소한 겁니다.
이번 조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6.30 판문점 회동 이후, 그리고 북한이 올 들어 세 번째 미사일 발사를 감행하기 전인 지난달 10일~15일 성인 미국인 1천50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북 핵 프로그램 외에 이란 핵 프로그램,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 이슬람 테러조직(IS), 해외 국가의 사이버 공격 위협에 관한 인식이 설문 주제로 다뤄졌습니다.
응답자의 정당 성향에 따라 구분해도, 북 핵 프로그램을 주요 위협으로 보는 응답자 비율은 민주당이 54%, 공화당이 52%로, 정당에 따른 차이가 없었습니다.
또 북 핵 위협 수준에 관한 인식은 정당에 상관 없이 응답자 모두에서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한 미국인들의 부정적 인식은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과반수인 58%가 북한 지도자들이 북 핵 프로그램에 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하는 데 진지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부정적 인식을 가진 응답자 비율은 1년 전 49%였는데, 이보다 9%포인트 높아진 겁니다.
반면, “진지하다”고 답한 비율은 35%에 그쳐 38%였던 1년 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특히 민주당 성향의 응답자들 사이에서 부정적 인식이 높아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정당 성향에 따라 큰 차이가 없던 1년 전과 달라진 점입니다.
민주당 성향의 응답자들이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67%로, 49%였던 지난해에 비해 18%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반면, 공화당 성향 응답자들의 시각은 상대적으로 지난해와 별 차이가 없었습니다.
지난해 공화당 성향의 응답자 중 북한이 핵 문제 해결에 진지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52%로, 전년도 40%에 비해 12%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퓨 리서치센터는 “지난 2년 간 세계적 위협에 관한 미국 여론은 변했다”며 “2017년과 비교했을 때, 지금은 중국의 영향력과 이란 핵 프로그램을 주요 위협으로 보는 시각이 높아진 한편, IS와 북 핵 프로그램이 위협적이라고 보는 시각은 상당히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이조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