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 동안 개최돼 왔던 유엔 안보리의 북한 인권 관련 회의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회의 소집에 필요한 9개 나라의 동의를 모두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유엔 안보리가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개최한 북한의 인권 관련 회의가 올해는 열리지 않게 됐습니다.
‘AFP’ 통신은 7일 유엔 외교관 등을 인용해 회의를 추진했던 미국이 필요한 나라 숫자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이 계획을 접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초 미국은 회의 소집에 필요한 정족수인 9개 나라를 확보하려고 시도했지만, 8개 나라의 동의만 얻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12월 안보리 의장국으로 활동하는 아프리카 나라 코트디부아르가 지난 3일 회의 소집과 관련된 문서에 서명할지 여부를 놓고 심사숙고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결과적으로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는 6일 VOA에 “아직까지 (북한 인권과 관련한) 어떤 회의나 행사에 대한 개최 여부를 발표하지 않았다”며, 이날을 기준으로 회의 소집이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했었습니다.
미국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9개 나라를 확보해 아무 문제 없이 회의를 소집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회의 소집에 찬성했던 이탈리아와 일본, 세네갈, 우크라이나, 우루과이가 지난해 임기를 마친 채 안보리를 떠난 반면, 반대나 기권 의사를 밝힌 5개 나라 중에는 이집트 1개 나라만이 안보리 이사국에서 물러났습니다.
올해에는 코트디부아르와 적도기니, 쿠웨이트, 네덜란드, 페루, 폴란드 등 6개 나라가 새롭게 안보리 이사국에 추가됐습니다. 이중 적어도 4개 나라가 찬성 입장을 보여야 했지만, 현 시점까지 이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카쿠 우다야 레옹 아돔 코트디부아르 대사는 지난 3일 유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 인권 회의 개최와 관련된 협의가 안보리 내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 협의가 끝나고 문구 등에 합의가 이뤄지는 등 모든 게 원활하게 진행될 경우 12월10일에서 15일 사이에 북한과 관련된 회의가 열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언론들은 미국 정부가 10일 회의 개최를 추진했었다고 보도했습니다.
한편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는 ‘이번 인권 회의에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VOA의 질문에 지난해 4월18일 니키 헤일리 대사가 개최한 인권과 관련한 안보리 회의 연설문을 상기시켰습니다.
당시 헤일리 대사는 “인권이 광범위하게 무시되는 곳에서 다음 국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북한이나 이란 혹은 쿠바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었습니다.
아울러 북한이 조직적인 인권 유린을 통해 핵과 미사일 개발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북한 정부가 군부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정치범 등 많은 사람들을 탄광 등 위험한 곳에서 일하도록 강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