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다양한 국적의 직원 4만여 명이 근무하는 유엔 사무국에 북한 국적자는 단 한 명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은 더 많은 국민의 유엔 근무가 요구되는 ‘과소진출’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에 근무하는 유일한 북한 국적자는 남성입니다.
지난 2014년 7월1일부터 지난해 6월30일 사이 유엔 사무국 직원의 특성 등을 정리한 ‘직원 통계에 관한 사무총장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북한 남성은 알파벳 ‘P’로 시작하는 ‘전문직’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이 북한인은 유엔 사무국에서 근무하며, 65세까지 정년이 보장되는 ‘영구직 (Permanent)’으로 임명된 상태라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보고서에는 이 직원이 어떤 부서에서 근무하는지 나타나 있지 않지만,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를 포함한 전세계 25개 유엔 사무국의 사무소 중 한 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의 직원 연봉자료에 따르면 유엔은 전문직 직군을 1단계에서 5단계로 나눠, 최소 미화 4만7천464 달러에서 최대 10만9천449 달러의 연봉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유엔은 각국의 분담금에 따라 유엔 사무국에 진출할 수 있는 각 나라별 적정 범위를 정해놓고 있습니다.
분담금에 따른 북한의 적정 범위는 3~14명이지만, 현재 단 1명이 진출해 더 많은 국민의 진출이 필요한 `과소진출 (Underrepresented)’ 국가로 분류된 상태입니다.
북한처럼 1명의 직원이 진출한 나라는 바레인과 투발루, 브루나이 등 9개 나라였으며, 키리바시와 팔라우 등 섬나라 4곳은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미국은 2천636명으로 전체 4만1천81명의 사무국 직원 중 6.42%를 차지하고 있고, 중국은 461명이 진출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은 분담금 대비 유엔 사무국 진출 인원이 적어 북한과 마찬가지로 ‘과소진출’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한국은 지난 2007년 취임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비롯해 모두 146명의 직원이 진출해 적정 진출 범위 (Within Range)에 속해 있었습니다.
유엔 사무국은 총회와 안전보장이사회 등 6개 유엔 주요 기구 중 하나로, 유엔 행정 전반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VOA 뉴스 함지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