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오늘(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조치를 완화하는 내용의 10가지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중국 국무원은 이날 관영 `CCTV’가 보도한 이 지침에서 무증상 또는 증세가 가벼운 감염자의 가정 내 격리를 허용하고, 대부분의 공공장소 출입에 의무적으로 적용됐던 QR코드 인증을 대부분 폐기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수도 베이징 시 당국이 오늘(6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사 결과 없이 공공장소 출입을 허용하는 등 방역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시 방역 당국은 이날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식당 내 식사 등을 전면 금지했던 종전의 정책을 완화해 48시간 이내에 받은PCR 검사 음성 증명서가 있으면 식당과 PC방 등에 출입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방역 정책의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미 연방 상원의원 40여 명이 1일 중국에 시위대를 무력 진압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미 상원의원 42명은 이날(1일) 친강 주미 중국대사에게 서한을 보내고 중국 정부의 시위대 무력 진압은 미-중 관계에 엄청난 해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당국이 며칠 안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검역 절차 완화 등을 담은 새로운 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오늘(1일) 이 문제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의 새 대책에는 대량 코로나 검사 축소와 특정 조건 하에서 양성자와 밀접 접촉한 경우 자택 격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 등이 포함된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 공산당이 “적대 세력에 의한 침투와 사보타주 활동"을 단호하게 단속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29일 오후 성명을 내고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는 불법 범죄 활동을 법에 따라 엄격히 단속하고, 사회 안정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중국 정부에 ‘제로 코로나’ 정책의 조정을 촉구했습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어제(29일) 독일 베를린에서 가진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모든 코로나 확진자를 고립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강경한 ”제로 코로나” 접근법은 재조정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전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당국의 엄격한 방역 조치에 항의하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시위자들은 수도 베이징과 상하이의 거리에서부터 수십여 대학 교정에서 시진핑 국가주석 집권 이후 전례 없던 시민 불복종 운동에 나섰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오늘(28일) 보도했습니다.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재확산하면서,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당국의 봉쇄 조치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다국적 로펌인 퍼킨스 코이의 중국 지사 파트너는 25일 트위터를 통해 “오늘 아침 로펌의 30명이 넘는 직원들로부터 아파트가 7일간 봉쇄에 들어간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일일 신규 확진자가 어제(22일) 기준 2만8천 명을 돌파했습니다. 당국은 주거용 건물과 복합 시설 등을 포함해 비공식적 봉쇄 조치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이 미국민들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미국 내 보건의료 대응을 이끌었던 파우치 소장은 퇴임을 앞두고 어제(22일) 백악관에서 연 마지막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세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수도 베이징에서 5월 말 이후 처음으로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로이터’ 통신과 미 `CNN’ 방송 등은 지난 19일 베이징에서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 1명이 확인된 데 이어 어제는 2명이 숨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