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앞으로 북한 여행경보를 3개월 마다 한번씩 갱신하기로 했습니다. 새 제재법에 따른 인도주의적 대북 압박의 일환입니다. 매주 수요일 깊이 있는 보도로 한반도 관련 주요 현안들을 살펴 보는 '심층취재' 입니다.
올 상반기 미국과 북한의 교역 규모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대북 제재의 결과로 보입니다.
북한이 최근 한국에 대한 독일의 미사일 판매를 비난한 데 대해, 독일 정부가 합법적 판매라며 반박했습니다.
북한 당국의 지난달 식량 배급량이 2분기에 비해 17% 감소했다고 유엔이 밝혔습니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지난해 북한경제가 부진했던 주요 요인인 가뭄이 올해 상반기에는 해소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북한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 2270호에 대한 이행보고서를 제출한 나라 4개국 중 1개국은 북한의 우호국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음달 초 시행될 한국의 ‘북한인권법 시행령’ 최종안이 확정됐습니다. 한국 정부는 시행령 해설집을 통해 제3국에 체류하는 탈북자들도 이 법의 보호 대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엔이 올해 북한에서 어린이와 여성의 생활환경을 살펴보기 위한 종합지표조사를 실시합니다. 유엔은 북한이 제공하는 통계자료 만으로는 북한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미국에 난민 자격으로 입국한 탈북자 수가 200 명이 됐습니다. 지난 2006년 이후 10년 만입니다.
지난 5월 취임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다음달 미국을 방문합니다.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신임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VOA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북한의 인권 상황, 특히 정치범수용소 문제에 우려를 표하면서, 북한 당국자들과의 교류도 적극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하는 언론성명이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