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허브스트 전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 대사는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개입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러시아와 북한 간 협력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허브스트 전 대사는 18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병력 투입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러시아가 북한의 미사일 기술 완성에 기여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러시아의 대규모 확전과 이에 따른 독재 정권 간 공조가 국제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며, 미국과 동맹국들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지난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우크라이나에서 활동한 허브스트 전 대사를 안소영 기자가 인터뷰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미국산 장거리 미사일로 러시아 본토 타격을 허용한 것은 북한군 파병에 대한 경고라고 ‘뉴욕타임스’가 17일 보도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무기 사용을 승인한다면 이는 미국의 분쟁 개입 결정과 다름없다고 경고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의 불법 침공에 맞서는 우크라이나에 미국산 장거리 무기 사용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크라이나 북동부 수미시 등지에 러시아가 밤 사이 미사일 공습을 가해 최소 11명이 숨지고 89명이 다쳤다고 현지 당국이 오늘(18일) 밝혔습니다.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규모가 2-3배 늘어날 수있다고 모스크바 주재 한국 대사를 역임했던 위성락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과 러시아 간에 북한군 지휘와 보급, 전투수당에 대한 이면 합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외교통상부에서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과 주러시아 대사 (2011-2015)를 역임한 위성락 의원을 최원기 기자가 인터뷰 했습니다.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어제(16일)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격전지인 러시아 쿠르스크에 북한군 장군 7명이 파병됐다고 디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가 밝혔습니다. 포노마렌코 대사는 14일 VOA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북한이 쿠르스크에 통제 관리 센터를 설치하고 있다고 이같이 말했습니다. 포노마렌코 대사는 1년이면 현대전을 경험한 고도로 숙련된 북한군 10만 명 정도가 배출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한반도 안보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러시아 군이 우크라이나 남부 오데사 지역에 어제(14일) 공습을 가해 1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했다고 현지 당국자가 밝혔습니다.
미국 전문가들은 북한군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이 전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판단하기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러시아가 충분한 대가를 지불해 북한이 추가 파병에 나서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수장이 북러 군사협력이 유럽뿐 아니라 미국 본토에도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나토와 인태 국가들 간 협력 강화의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영국과 유럽연합(EU)이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회의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을 규탄했습니다.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이 유럽은 물론 인도태평양 안보에도 위협이 된다며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함지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더 보기